글 싣는 순서
1. 멀티도메인 (Multi-Domain) 지원
6. Bridge Escalation (그룹채팅에서 영상회의로 전환)
7. Jabber to Jabber Call (P2P 음성 및 영상 통화)
10. IM Features (채팅 관련 기능)
11. FMC Features (재버 모바일만의 특화 기능)
12. Persistent Chat Room (채팅방)
13. Advanced Features of Cisco Jabber
14. 가상화 환경에서의 재버 (VXME)
15. 홈 클러스터
16. Security Features (인증서 관리 및 암호화)
시작하며
채팅을 하면서 과거의 채팅내용을 확인하고 싶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과거 채팅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어딘가에 보관을 해야 합니다. 시스코 재버가 지원하는 채팅 내역이나 히스토리를 보관 및 검색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Jabber의 채팅 내역을 서버에서 보관하기
시스코 재버에서 채팅 히스토리를 보관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재버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채팅 내용을 보관하는 방법 (IM History)와 CUCM IM&P 서버에서 보관하는 방법 (IM Logging)입니다. 먼저 서버에서 채팅내역을 관리하기 위한 구성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PostgreSQL 이외의 DB 서버를 사용할 경우 서브-클러스터 당 하나의 DB instance가 필요합니다.
외부 DB 서버를 사용 시에는 CUCM IM&P 서버의 메뉴바에서 "Messaging >> External Server Setup >> External Databases" 에서 연동해야 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의 채팅 내역 보관은 Cisco jabber for Windows에서만 지원합니다. 시스코 재버는 채팅이 끝나고 창이 닫히면 자동으로 채팅내역을 메일로 자동 전송합니다. 재버 사용자의 아웃룩에는 자동으로 "Cisco Jabber Chats"라는 탭이 생성되어 자동으로 축적됩니다. 이 기능은 Cisco Jabber for Windows 10.6 버전부터 지원합니다.
<Client>
<enablesavechathistorytoexchange>True</enablesavechathistorytoexchange>
<InternalExchangeServer>exchange01-bc.bootcamp.com</InternalExchangeServer>
</Client>
PC에서 채팅 중에 모바일로 옮겨서 하거나 모바일에서 채팅 중에 PC에서 이어서 채팅을 하고 싶어합니다. 실제로 이런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만 간혹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시스코 재버는 모바일에서 전송한 채팅은 PC에 그대로 동기화되지만, PC에서 전송하는 채팅은 모바일로 동기화되지 않습니다. 모바일은 잠깐 채팅을 하고 채팅 정보의 저장과 관리는 PC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채팅 내역을 보관 및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라인하트 유씨누스(UCnus) (CCIEV #18487) --------------------------------------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세상을 이롭게 하는 기술을 지향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