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lepresence

Cisco TelePresece Server Virtual Edition의 이해

시작하며
시스코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MCU (Multipoint Control Unit, 다자간 회의 시스템)를 TelePresence Server Virtual Edition 또는 Virtual TelePresebce Server라는 제품으로 꾸준히 개발해 왔으며, 최근 TS 4.0 소프트웨어까지 출시 하면서 상당한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스코 텔레프레즌스 서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Virtual Edtion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Cisco TelePresence Server 개요
시스코 텔레프레즌스 서버는 음성 및 영상 다자간 회의를 제공하는 MCU로 기존의 MCU와 달리 화면 분할이 아닌 Active Presence 레이 아웃을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Active Presence 레이아웃은 텐드버그 시절의 MSE 8000 샤시에 탑재된 8710 TelePresence Server 블레이드에  처음으로 적용었습니다. 몰입형 텔레프레즌스가 인기를 끌면서 
실물크기 (Life-size)의 영상화면을 제공하면서 다자간 회의는 Voice activated Switching을 바탕으로 화자 중심의 화면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후에 몰입형 텔레프레즌스의 다자간 회의 시 말을 하지 않아 보이지 않는 참가자들의 화면도 공유하면서 실물크기의 영상 공유라는 몰입형 텔레프레즌스의 개념을 해치지 않는 화면 레이아웃으로 만들어진 것이 Active Presence 레이아웃입니다.   



시스코의 텔레프레즌스 서버는 다자간 회의시에 다양한 레이아웃을 지원을 포기하고, 몰입형 텔레프레즌스의 다자간 회의를 위한 Active Presence 레이아웃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MCU입니다. 시스코 텔레프레즌스 서버는 몰입형 텔레프레즌스 단말의 연동 뿐만 아니라 표준 기반의 영상회의 단말, 모바일, 웹엑스 클라이언트, 3rd Party 영상 단말 등의 모든 영상장비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진화하였습니다.  



Cisco TelePresence Server 제품군
Cisco TelePresence Server 제품군은 다음과 같이 크게 3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UCS 서버에서 구동되는 TelePresence Server Virtual Edition 제품군, 어플라이언스 모델인 MultiParty Media 310,320 과 Cisco TelePresence Server 7010, MSE 8000 샤시에 실장되는 Cisco TelePresece Server 8710이 있습니다. 


특히, Cisco TelePresence Server 8710은 4개의 블레이드가 하나의 클러스터로 동작하여 한 회의당 최대 48자의 Full HD 영상회의를 제공합니다. 



각 제품군의 기능은 동일하며 포트 용량과 구축 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습니다. 시스코 텔레프레즌스 서버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TS 4.0 까지 출시되었으므로 TS 4.0을 기준으로 장비용 포트 용량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래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화상회의 포트 용량을 산정할 때 "1 FHD = 2 HD = 4 SD = 8 nHD" 를 기본으로 하며, 문서공유와 같은 컨텐츠 공유도 포트 1개를 점유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8710 TP Server 블레이드는 MSE 8000 샤시에 장착하여 사용하며, 블레이드 당 최대 12 포트의 Full HD (1080p@30fps)를, 4개의 블레이드를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어서 클러스터 당 최대 48 포트의 Full HD를 지원합니다. Multiparty Media 310은 최대 5 포트의 Full HD를 Multiparty Medai 320은 최대 10 포트의 Full HD를 지원하는 어플라이언스입니다. Cisco TelePresence Server Virtual Edition은 소프트웨어 기반의 다자간회의 시스템으로 vTS 8-core와 vTS 16-core로 나뉩니다. 현재 vTS 8-core는 최대 4 포트의 Full HD 영상을,  vTS 16-core는 최대 8 포트의 Full HD 영상을 제공합니다만, 2014년말에는 vTS 8-Core의 경우 최대 5포트의 FUll HD를, vTS 16-Core의 경우 최대 20포트의 Full HD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음성 다자간 회의는 Cisco TelePresence Conductor를 이용할 경우 최대 200 포트를 지원합니다.  



Cisco TelePresence Server Virtual Edition on VMware
Cisco TelePresence Server Virtual Edition은 TelePresence Server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저렴한 시스코 BE6K 또는 BE7K 서버에서 동작합니다. BE6K HD 및 MD 서버를 이용할 경우의 서버 구성에 대해 아래 그림에 표시하였습니다. 



BE7K 서버는 BE6K 서버에 비해 2배 정도 비싸지만, 단지 12-Core 만을 지원하므로 BE6K HD 서버와 같이 vTS-16 Core를 지원할 수 없습니다. Virtual Edition을 BE7K 서버에 탑재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디자인 할 수 있습니다.  




BE6K 또는 BE7K 서버를  Virtual Edition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Cisco TelePresence Conductor를 같이 디자인해야 합니다. Cisco TelePresence Conductor는 소프트웨어 및 라이센스는 한 대의 TP 서버와 연동 시에는 무료로 제공하고, 두 대이상의 TP 서버와 연동할 경우에만 라이센스가 필요합니다. 


vTS 8-core는 기본 설치되어 무료로 제동되는 VMware Hypervisor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vTS 16-core는 반드시 VMware Enterprise 라이센스를 설치해야 합니다. 


참고로 vCPU를 더 많이 할당하더라도 시스템의 포트 용량은 증가하지 않으므로 무리하게 리소스를 증설할 필요는 없습니다.  



Cisco TelePresence Conductor 의 개요 
Cisco TelePresence Server를 구축 시 필요한 Cisco TelePresence Conductor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Conductor는 Optimized Conferencing (최적 다자간 회의)를 지원하는 솔루션입니다. 일반적으로 TP 서버는 Full HD 회의 시 일반 SD 영상 단말이 접속하더라도 그대로 Full HD 포트를 점유하지만, Conductor를 이용한 Optimized Conferencing환경에서는 SD단말은 SD포트 1개 포트를 점유하도록 하여 같은 용량의 TP 서버를 이용하더라도 더 많은 단말이 참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즉, Conductor가 없는 TP 서버는 Fixed Port 환경을 제공하고, Conductor가 있는 TP 서버는 Flexible Port 환경을 제공합니다. Full HD 단말만 있는 환경에서 Conductor의 효과가 미미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단말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Conductor는 뛰어난 리소스 매니지먼트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Conductor는 시스코 CUWL PRO 사용자 라이센스를 가진 사용자가 최대 4자간 회의를 지원하는 Personal Multi-party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MCU는 하드웨어 가격만큼이나 스크린 라이센스 비용이 비싼 제품입니다. CUWL PRO 사용자 라이센스에 제공되는 Personal Multi-party 기능은 스크린 라이센스 없이 MCU 하드웨어만 구매하여 한 회의당 4자간 회의를 개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Conductor는 SIP만을 지원하며 클러스터링 구조를 이용한 이중화를 지원합니다.  




TelePresence Server를 위한 기본 구성 방안
TelePresence Server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 구성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영상회의 단말을 위한 호제어는 시스코 CUCM이나 VCS가 담당합니다. Cisco TelePresence Conductor 는 Cisco MCU 또는 TelePresence Server 사이에 위치하여 리소스 매니지먼트를 담당합니다. 


이제는 효과적인 리소스 매니지먼트를 위해 Cisco TelePresence Conductor 를 구축해야 합니다. 




BE6K를 이용한 Cisco TP Server Virtual Edition 활용 방안
영상회의를 많이 쓰는 규모가 있는 회사에는 Cisco TP Server Virtual Edition보다는  8710 블레이드나 MultiParty Media 300 어플라이언스 모델이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8710 블레이드는 적합한 디자인이 아니므로 1000명이하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만든 BE6K 장비와 연계하여 최소비용으로 다자간 회의를 구축하는 방안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한 대의 BE6K HD 서버에는 CUCM과 같은 주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별도의 BE6K HD 서버에는 virtual TS 8-Core 두 개 또는 virtual TS 16-Core를 설치합니다. vTS 8-Core는 기존의 VMWare Hypervisor 라이센스를 그대로 사용하고, vTS 16-Core를 이용할 경우에는 별도로 VMWare Enterprise 라이센스를 구매합니다. 


TelePresence Server Virtual Editon의 스크린 라이센스는 고가이므로 BE6K를 위한 CUWL PRO 25 사용자 번들을 구매하여 Personal Multiparty 기능을 위한 MCU로 활용합니다. 즉,BE6K HD서버 한대만 있으면 25명이 4자간 회의를 동시에 개최할 수 있는 MCU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단점은 4자 이상의 다자간 회의를 개최할 수 없으며, 이럴 경우에는 스크린 라이센스를 따로 구매해야 합니다. 


4자 이상의 다자간 회의가 가끔 있는 경우에는 시스코 웹엑스에서 제공하는 WebEX CMR을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가끔 있는 다자간 회의를 위해 값비싼 스크린 라이센스를 구매하기 보다는 클라우드로 서비스하는 MCU를 이용하는 것이 나을 듯합니다.  



마치며

처음 Virtual TelePresence Server가 발표되었을 때는 포트용량이 너무 낮아서 실제 사용하기 어려웠었지만, 이제는 충분한 포트용량을 제공하고, 올해 말에는 추가적인 포트 용량 확장 가능할 예정이므로 도입해 볼만 합니다. 


다음에는 2015년 1월에 서비스예정인 WebEX CMR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라인하
트 (CCIEV #18487)
  ------------------------------------------------------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벤더에 상관없이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세상을 이롭게 하는 기술을 지향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