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Connection은 시스코가 Postmail이라는 회사를 합병한 후 1년즈음 있다가 만들어진 것으로 기존의 Unity를 대체하는 시스템입니다. 설정하는 방식은 두 제품모두 거의 유사하며, 현재는 UnityConnection으로 대체되었습니다. Unity는 윈도우즈 기반의 음성 사서함이였지만, UnityConnection은 시스코의 CUCM과 같은 레드햇 리눅스를 사용합니다. 처음 UnityConnection을 웹으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관리화면이 나타납니다.
UnityConnection 설정의 핵심은 사용자의 개별 음성 사서함을 생성하고, 음성 사서함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Voice Maiil Port를 만드는 것입니다. 앞의 글에서 CUCM 상에서 Voice Messaging Port를 4개를 설정하였습니다. CUCM과 UnityConnection을 연동한다는 것은 Voice Mail Port를 상호 연결해 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Voice Messaging Port 설정하기
위의 그림의 왼쪽 탭에 아래 부분을 보시면, Telephony Integration이라는 카테고리가 있으며, 이를 확장하면, 아래와 같은 하위 메뉴가 보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Phone System을 선택합니다. 찾기를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이 Default Phone System 이 보입니다. 하나의 CUCM 클러스터와 연동하는 것이라면, 하나만 생성하면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Phonesystem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Phone System Basics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위의 값은 Default 값으로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여기서 주요할 것은 "Default TRAP Phone System"의 선택여부 입니다. 음성사서함이 없는 관리자나 사용자가 UnityConnection 웹 어플리케이션의 전화기를 통해 녹음 및 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TRAP 연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Phone System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Phone System을 하나만 생성할 계획이므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합니다.
위의 그림의 우측 상단에 "Add Port Group"을 선택하여 아래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Port Group은 다수의 Voice Messaging Port를 묶어서 그룹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상세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Phone System : 하나밖에 없으므로 "PhoneSystem"을 선택
- Create From : SCCP 프로토콜로 연동합니다.
- Display Name : Port Group의 이름을 설정해 줍니다.
- Device Name Prefix : CUCM에서 Voice Mail을 위한 Device Name과 동일한 Prefix를 사용합니다.
- MWI On & OFF : CUCM 설정에서 이미 설정한 값을 그대로 이용합니다.
- IPv4 address or Host Name : Primary CUCM의 IP address를 적어줍니다.
이제 Port Group의 기본 값을 설정하였습니다. "Port Group Basic" 페이지의 우측 상단에서 "Add Port"를 선택하여 아래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CUCM 설정에서 생성한 Voice Messaging Port의 수 만큼을 선택합니다. 여기에서는 모든 포트가 일괄적되므로 Port Behavior를 모두 선택한 후 저장합니다.
아래 화면은 4개의 포트가 생성된후 모두 3개의 포트는 Answer Calls이 선택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포트별로 개별 Behavior를 아래 화면처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기본적인 설정은 되었습니다. 만일 CUCM 클러스터로 구성되어 여러대의 CUCM 서버가 있다면, 아래와 같은 Port Group 화면에서 서버를 추가합니다.
사용자 음성 사서함 만들기
지금까지 Voice Messaging Port를 설정하였습니다. 다음의 사용자들의 개별 음성 사서함을 생성합니다. 음성 사서함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Active Directory 연동
AD와 연동을 위해서는 LDAP Setup을 설정합니다. 아래와 같이 "Enable Synchronizing form LDAP Server"를 체크하고, LDAP Type과 User ID를 위한 속성 값을 결정합니다. Default 값을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 화면에서 "LDAP Authentication for End Users"에 정확한 AD 접근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DN을 넣어줍니다. 일반적으로 AD Admin이나 Administrator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계정을 이용합니다. 또한, LDAP서버의 정확한 IP address를 넣어 주어 인증이 되도록 합니다.
LDAP Directory를 설정합니다.
LDAP Ditrctory의 세부 항목을 나타낸 것이며, 세부 필드는 변경할 필요가 없습니다. - CUCM을 이용한 연동
CUCM의 사용자 DB를 연동하여 End User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CUCM 클러스터를 구성하였다면, 다수의 AXL Server가 있을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Publisher에서 연동합니다. 아래 화면처럼 Phone System Basics에서 Edit >>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AXL Servers"를 선택합니다. - "Add New"를 선택하여 AXL 서버를 추가하고, AXL Admin권한을 가진 계정을 넣어줍니다. 아래 화면은 CUCM에서 AXL Admin 권한을 가진 axladmin 어플리케이션 유저를 이용하여 인증합니다. axladmin은 직접 CUCM에서 생성하시면 되고, 귀찮으면 모든 권한을 가진 ccmadministrator를 사용합니다. ^^
UnityConnection은 CUCM의 데이타베이스에 있는 사용자 정보에 접근해야 하며, 사용자의 전화기 정보도 함께 필요합니다. 이 떄 사용자의 "Primary Extension"정보가 정확히 기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 직접 생성
사용자 연동이 귀찮을 경우 직접 하나하나 생성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부분의 설명은 매우 간단하기도 하고 잘 사용하지 않으므로 생략합니다
이렇게 사용자 생성이 이루어 지면, 아래 그림과 같이 사용자가 나타납니다.
마치며
Telephony Integration과 사용자 정보가 생성되었으므로 기본적인 설정은 완료되었습니다. CUCM 과 UnityConnection의 라이센스는 ELM (Enterprise License Manager) 서버에서 직접 올리면 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합니다.
----------------- --------------------------------------------------------
라인하트 (CCIEV #18487)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ucwana (라인하트의 트위터 )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벤더에 상관없이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정리하고 보니 나도 디지털 네이티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