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1. 한글 로케일 설정
2. CUCM 기본 설정 I
3. CUCM 기본 설정 II
4. 전화기 등록
5. 내선 번호 등록 I
6. 내선 번호 등록 II
이넘에 연재병은 항상 도지지만 마무리를 항상 못하는 라인하트입니다. -,-:? 이 번에도 대충만들려다가 저도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에 자세히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머 자세히 알수록 좋은 것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이번 주 목요일에 구글 그룹스에 회원들과 Off-line 모임을 할 예정입니다. 이번 모임에 앞서 일본과 호주에서 모임이 있었습니다. 글로벌하게 한국에서도 맥주한잔과 안주로 서로의 소소한 일상을 이야기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
시작하며
이 장에서는 Device Pool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알면 좋지만, 몰라도 CUCM 기본 설정에 전혀 지장이 없는 장입니다만, CUCM을 자세히 공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옵션이나 항목들을 짚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CUCM 설정에서 Device Pool을 이해하면,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Device Pool은 Device의 일반 속성을 정의하는 것으로 Route List, Trunk, Gateway, IP Phone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됩니다. 가장 필수적인 설정은 2장에서 살펴보았습니다. 2장에서 살펴보지 않는 나머지 항목들을 짚어보겠습니다.
“Device Pool Setting”의 항목 살펴보기
실제 기본 설정에서는 의미가 없지만, 각 항목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 대충 살펴보겠습니다. 우선은 Device Pool Settings 박스의 항목입니다.
- Calling Seach Space for Auto-registration
CUCM에 자동 등록되는 IP Phone에 대한 CSS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CSS는 “통화 시도를 할 수 있는 파티션 목록” 입니다. 각 전화번호마다 Patition이 주어지며, 각 전화기는 CSS라는 파티션 목록을 가지고 있어서 전화를 걸수 있는 지 없는 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1000/finance_P 라는 전화번호와 1000/it_P라는 전화번호는 같은 1000번이라는 내선 번호를 사용하지만, CUCM에서는 전혀 다른 번호입니다. 특정 전화기가 1000 이라는 번호를 누르면 finanace와 it 부서 중 어느 곳에 있는 전화기로 전화를 하는 것인지 확인해 주는 것이 CSS 입니다. 기본적으로 CSS 내에 있지 않는 전화번호로는 통화할 수 없습니다. CSS는 다음 장에서 설명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 Adjunct CSS
EMCC (Extension Mobility Cross Cluster) 설정 시에 사용합니다. 기존의 Extesion Mobility는 클러스터 내에서만 동작했지만, CUCM 8.0 에서는 클러스터 간에서도 지원합니다.
아래 그림은 간단한 아키택쳐입니다. 사용자가 원래 속한 클러스터를 홈 클러스터라 하고, 로그인할려고 하는 원격 클러스터를 Visiting 클러스터라고 합니다. 만일, Visiting Cluster가 미국에 있고, 홈 클러스터가 한국에 있다면, 긴급전화를 위한 Patition이 틀릴 것입니다. 즉, 미국은 911 이고, 한국은 119입니다. Visiting 클러스터 내에 있는 visiting phone에 한국의 전화설정 내역을 그대로 사용하지만, 긴급전화는 미국내의 것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Adjuct CSS가 필요하게 됩니다. Adjuct CSS에는 원격지 국가의 긴급 전화 내역이 포함되도록 합니다.
- Reverted Call Focus Priority
Hold Reverted Call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Hold Reversion 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Hold 버튼을 누르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흐르고 나면 수신자에게 Hold된 호가 있음을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즉, Resume 키를 누르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Hold Reverted 가 발생하게 될 때, 다른 호가 수신된다면 어떤 우선 순위를 가져야 할 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 Default : incomig call을 먼저 처리
- Highest : reverted call을 먼저 처리
- Local Route Group (Call Routing 설정을 단순화함)
Device Pool을 위한 Route Group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Route Group은 Route List에서만 선택할 수 있었지만, CUCM 7.0 부터는 Device Pool에서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즉, 별도의 Dialplan 을 하지 않아도, 부산지역 전화기는 부산의 게이트웨이가 모여있는 Route Group을, 서울에 있는 전화기는 서울의 게이트웨이가 모여 있는 Route Group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Dial Plan을 해 보신 분들은 쉽게 이해하실 것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CUCM7.0 의 새로운 기능들( http://www.nexpert.net/172) “ 이라는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oaming Seneitive Settings” 박스의 항목 살펴보기
Roming Sensitive Setting 은 Device Mobility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 경우 그 값이 상황에 따라 변경되도록 한다는 의미입니다.
- Media Resource Group List (MGRL)
기본 값은 <None>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것은 <None> 이라는 MGRL List가 선언되었음을 의미합니다. Media Resource는 MoH 서버, Transcoder, Coference Bride, Announciator, 등을 의미합니다.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 값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Location
Location은 CAC (Call Admission Control)을 위해 사용합니다. Location과 Location 사이에서 호가 이루어질 때 음성과 영상의 품질을 위해 호의 개수를 제한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대역폭으로 제한합니다. 기본값은 Hub_None으로 CAC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Location은 System >> Location 메뉴에서 설정합니다. 아래 그림은 Location 목록을 나타낸 것입니다. HQ와 Branch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HQ는 음성이 unlimited이지만, Branch는 64kbps입니다 HQ와 Branch간에는 64kbps 가 최대 음성 대역폭 한계입니다.
- Network Locale
로케일 (Locale) 에 대해서는 1장에서 설명 드렸으므로 생략합니다. ^^
- SRST Reference
만일 SRST (Survivable Remote Site Telephoy) 를 사용한다면, 이 항목을 설정해야 합니다. SRST는 IP Phone이 CUCM과 통신이 두절될 경우 자동으로 Gateway에 등록되어 기본적인 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 Disable : 사용하지 않음
- Use Default Gateway : IP Phone에 설정된 Default Gateway가 SRST 게이트웨이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IP Phone은 Default Gateway로 등록을 시도함
- Exising SRST Reference : IP Phone의 SRST 라우터가 Default Gateway가 아닐 경우 특정 SRST 라우터를 선택합니다.
SRST Reference는 System >> SRST 메뉴에서 설정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IP address 항목은 SRST Router의 IP 주소를 나타냅니다. 특히, 네트워크 내에 SIP Phone이 있다면, SIP Network/IP addres 항목을 반드시 명기해야 합니다.
- Connection Moitor Duration
IP Phone이 SRST Router에 등록하여 동작할 경우 CUCM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CUCM으로 재등록을 시도해야 하므로 CUCM의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기본 값은 120초입니다. 이 값을 변경하면, 이 Device Pool을 사용하는 IP Phone에 적용되며, Enterprise Parameter에 있는 항목을 변경하면 클러스터 전체의 IP Phone에 적용됩니다.
시간이 짧으면, 복구되는 시간은 빠르나 CUCM의 부하가 증가할 것이며, 시간이 길면, 복구되는 시간이 길어지나 CUCM의 부하가 적어집니다. 특별한 상황이외에는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Single Button Barge
Barge는 Shared line에 대해 통화 중일 때, 같은 Shared line을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가 상대방의 호 정보나 또는 삼자통화와 같이 통화중인 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쉽게 말하면, A 사용자와 B 사용자는 1000이라는 같은 전화번호를 사용합니다. 누군가가 1000에 호를 시도하면 두개의 전화기가 모두 울리게 되며, A 사용자가 전화를 받게 되면, B 사용자에게는 발신자의 정보와 통화중이라는 의미로 Line상의 LED가 붉은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때 B 사용자가 Barge를 이용하여 삼자통화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Single Button Barge의 지원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똑같은 옵션이 Service Parameter에도 있습니다.
- Off : 활성화하지 않음
- Barge : Single Button Barge를 활성화
- cBarge : Single Button cBarge를 활성화
- Default : Service parameter의 값을 따름
- Join Across Lines (JAL)
Join은 하나의 line에 연결된 별 개의 두 호를 삼자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Join Across Lines는 이름 그대로 서로 다른 line에 연결된 별개의 두 호에 대해 Join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예를 들면, IP 전화기가 1000과 2000번 두 개의 전화번호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1000번으로 호를 받은 후에 조금 있다가 다시 1000번으로 또 다른 호가 들어올 경우 이를 삼자 통화로 묶기 위해서는 Join 기능으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1000번으로 호를 받은 후에 조금 있다가 다시 2000번으로 또 다른 호가 들어올 경우 이를 삼자 통화로 묶기 위해서는 Join Across Lines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JAL을 활성화 여부를 결정합니다.
- Physical Location 및 Device Mobility Group
이 것은 Device Mobility를 설정할 때 고려되는 옵션입니다. 제가 따로 설명드리 않겠습니다. 이미 솔민아빠님께서 포스팅한 ‘Device Mobility 개념 이해와 설정방법” (http://www.nexpert.net/217) 이라는 글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Device Mobility Related Information” 박스의 항목 살펴보기
이 부분도 솔민아빠님의 포스팅을 보시기 바랍니다. 너무 설명이 잘되어 있어서 쉽게 Device Mobility 부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Geolocation Configuration” 박스의 항목 살펴보기
이 박스는 무시해도 됩니다. Geolocation은 Logical Partitioning을 위해서 사용되며, Logical Partitioning은 인도를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인도의 경우 Toll Bypass가 제한적인 경우에 한 해서만 할 수 있도록 하고, 시외전화 및 국제전화는 반드시 텔레콤 망을 타고 나가야 됩니다. 따라서, IP Phone과 Analog Phone 두 개를 책상위에 놓고 써야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Local Partitioning이라는 것이 만들어 아날로그 전화기없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쓸 일이 없기 때문에 패쑤합니다. ^^
Device Pool 항목을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겠다고 했는 데, 그냥 넘어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
“Call Routing Information” 박스의 항목 살펴보기
이 항목도 패쑤합니다. 이 설정은 Trunk, Gateway, Device Pool 및 Service Parameter에서 설정 가능합니다만, 일반적으로 Trunk 나 Gateway에서 설정합니다. Trunk 설정을 다룰 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ystem 메뉴의 DHCP 살펴보기
CUCM은 DHCP 서버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1,000 대 이상의 IP Phone을 사용할 경우에는 서버에 많은 부하를 주기 때문에 별도의 DHCP 서버를 사용하거나, CUCM 클러스터 내에서 Call Processing을 하지 않는 서버에서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아래 항목에서 관심가져야 할 항목은 Option 부분입니다. 시스코의 전화기는 CUCM에 설정된 전화기의 Configuration을 다운로드 받기위해 TFTP 서버를 사용합니다.
- Option 66 : SIP Phone의 TFTP 서버 주소를 알려줌
- Option 150 : SCCP Phone의 TFTP 서버 주소를 알려줌
간단하게는 데모를 꾸미는 경우에는 ISR 라우터에서 DHCP를 설정하여 사용합니다. 설정하는 것은 아래와 같이 합니다
ip dhcp excluded-address 20.20.20.100 20.20.20.199 --> 이 대역의 IP는 할당하지 않음
!
ip dhcp pool DHCP
network 20.20.20.0 255.255.255.0
default-router 20.20.20.254 --> Default Gateway의 IP 주소를 정의
option 150 ip 20.20.20.110 --> SCCP Phone의 TFTP 주소
option 66 ip 20.20.20.110 --> SIP Phone의 TFTP 주소
마치며
Device Pool 에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CUCM의 버전이 올라갈수록 Mobility와 UX (User Experience)에 대한 설정이 많아졌으며, Cluster-wide로 설정하였던 많은 항목들이 Device Pool 레벨로 많이 내려와 있어 보다 섬세한 디자인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여기까지 설정하는 데 3분도 않걸리는 데 일일이 캡쳐 받아서 하니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
라인하트 (CCIEV #18487)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새로운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ucwana (라인하트의 트위터 )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벤더에 상관없이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cafe.nexpert.net/ (체계적인 UC 정보의 전달 및 나눔을 위한 카페)
정리하고 보니 나도 디지털 네이티브 ^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