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sco UC Manager

[연재] CUCM을 이용하여 전화기 등록하기 - 1. 한글 로케일 설정

    글 싣는 순서
 1. 한글 로케일 설정
 2. CUCM 기본 설정 I
 3. CUCM 기본 설정 II
 4. 전화기 등록 I
 5. 전화기 등록 II
 6. 내선 번호 등록 I

    

오늘 간만에 CUCM 8.0 설정해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VMware ESXi위에서 구동되는 CUCM 8.0(2)가 설치된 장비에 들어가보니 아무것도 설정된 것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초보자를 위한 기본적인 설정을 블로그에 포스팅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내용은 많지만 캡쳐 위주로 작성하여 길라잡이 수준으로 만들어 따라하기만 하면 설정이 완료되는 글을 써보겠습니다. CUCM을 많이 다루어보신 분들에게는 다시 한번 정리하는 마음으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시작하며
CUCM은 기본적으로 United States (US) 즉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IP Phone에서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글 로케일을 설치해야 합니다. 한글 로케일은 CUCM 버전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항상 CUCM 버전에 맞추어서 한글 로케일을 설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CUCM 최초설치시에 로케일 설치를 완료하기 때문에 실패를 대비한 백업은 필요없습니다만, 운영중인 CUCM에 업데이트할 경우에는 백업정도는 받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글 로케일 다운로드
CUCM 설치 파일을 제외한 패치파일이나 업데이트 파일은 http://www.cisco.com/cisco/web/download/index.html 에 접속하시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 CCO ID가 필요하므로 없으신 분들은 시스코 파트너에서 일하시는 분들에게 부탁하거나 어둠의 경로를 이용해야 합니다. ^^ 로케일은 아래 그림의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CallManager Locale Installer”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한글 로케일 파일명은 아래그림에 나와 있듯이 “cm-locale-ko_KR-8.0.1.1000-1.cop.sgn” 입니다. 

 

한글 로케일 설치하기
지금부터 Step by step으로 설치하는 것을 따라해 보겠습니다.

  • Cisco Unified OS Administartion 관리화면에 접속하기
    아래 그림의 CUCM Administaration 웹페이지는 가장 기본이 되는 페이지로 대부분의 CUCM 설정을 이곳에서 합니다. 그러나,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파일 설치는 “Cisoco Unified OS Administraion” 창에서 해야 합니다. 아래 그림의 오른쪽 상단에서 선택합니다.  



  • 로케일 파일의 위치 지정
    아래 그림은 “Cisco Unified OS Administration” 웹에 접속한 화면이며, 메뉴 탭에서 “Software Upgrades >> Install/Upgrades”를 선택합니다.

     





    위의 그림에 나타난 옵션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Source : 현재 한글 로케일 파일이 Remote Filessystem에 잇는 지 CD/DVD 로 있는 지를 선택합니다. 원격에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므로 “Remote Filesystem”을 선택
    - Directory : 정확한 파일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FTP/ SFTP 서버의 루트에 파일을 저장하였기에 “/”로 루트임을 표시
    - Server : FTP/ SFTP 서버의 IP 주소를 표시
    - Username : FTP / SFTP 서버 접속을 위한 사용자명
    - User Password :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
    - Transfer Protocol : FTP 또는 SFTP를 선택
  • 파일 선택
    CUCM은 FTP 서버의 루트에 있는 모든 파일을 검색하여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표시합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한글 로케일 파일외에는 CUCM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표시합니다.



  • 파일 다운로드
    CUCM은 선택한 파일을 FTP 서버로 부터 자신의 파일 시스템으로 다운로드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Staus 가 Complete로 나와있으므로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한글 로케일로 설정하기
이제 한글 로케일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에 한글을 사용해야 합니다. 모든 전화기가 한글을 사용해야 한다면, 메뉴바에서 System >> Enterprise Prameter 에서 일괄 변경하는 것이 간단합니다. 

위의 그림의 Localization Parameters 박스에 보면, 두 가지 종류의 로케일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Network Locale
    전화기나 게이트웨이의 톤(tones) 이나 cadence 를 표시합니다.
  • User Locale
    사용자의 언어를 표시합니다.

로케일을 변경하게 되면, 반드시 Reset을 선택하여 재설정되도록 해야 합니다.

 

로케일(Locale)의 설정 구조
로케일 설정은 Enterprise Parameter, Device Pool, Device 에서 가능합니다. CUCM에서 Locale 관련 Default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Enterprise Parmeter : US
  • Device Pool : <None>
  • Device : <None>

아래 그림은 Device에서의 Locale 설정 부분입니다.

여기에서 <None> 이라는 의미는 “설정값이 없음” 과 “ 상위의 값에 종속된다”라는 두가지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즉, Device의 로케일은 상위의 Device Pool의 값을 따른다는 것이며, Device Pool의 로케일 또한 <None> 이므로 Enterprise Parameter의 값을 따른다는 것이므로 IP Phone과 같은 Device는 영어를 기본적으로 표시합니다.

이 상태에서 Device의 Locale을 한글로 바꾸게 되면, IP Phone의 로케일은 한글로 바뀌게 됩니다. Device의 로케일이 특정 값을 가지게 되면, 그 값을 준용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로케일을 설정합니다.

  • Enterprise Parameter : CUCM 클러스터 전체의 로케일을 변경할 경우
  • Device Pool : 특정 Location이나 지사별로 로케일을 설정할 경우 (일반적으로 Device Pool은 지역을 기반으로 구분됨)
  • Device : 특정 몇 개의 전화기만 바꿀 경우

 

마치며
간단하게 한글 로케일 설치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제가 포스팅한 글 중 가장 쉽게 쓴 글이 아닌가 합니다.^^ 제가 설정하면서 일일이 캡쳐를 받아가면서 하다보니 윈도우즈 그림판이 상당히 불편합니다. 적당한 캡쳐 툴을 구해야 겠습니다. 쩝...

 ----------------------------------------------
라인하트 (CCIEV #18487)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새로운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ucwana (라인하트의 트위터 )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벤더에 상관없이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cafe.nexpert.net/ (체계적인 UC 정보의 전달 및 나눔을 위한 카페)
정리하고 보니 나도 디지털 네이티브 ^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