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sco UC Manager

[연재] CUCM 8.0 전화기 설정하기- 2. CUCM 기본 설정 I

                                                                              글 싣는 순서
                                                                          1. 한글 로케일 설정
                                                                          2. CUCM 기본 설정 I
                                                                          3. CUCM 기본 설정 II
                                                                          4. 전화기 등록 I
                                                                          5. 전화기 등록 II
                                                                          5. 내선 번호 등록 I
                                                                          6. 내선 번호 등록 II
                                                                 

이 연재는 단순하게 CUCM에 전화기를 연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간단하게 만들 계획입니다. 기본적인 설정만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여러 챕터 중에서 "I"이 들어가 있는 부분만 보시면 됩니다. CUCM 기본 설정 II, 전화기 등록 II, 내선 번호 등록 II 의 내용은 실제 간단한 구성에서는 필요없으며, 좀 더 Advanced 기능을 위해 필요한 옵션을 살펴보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초보자와 중급자를 모두 만족시키는 전화기 등록 연재입니다. ^^

 

시작하며
CUCM 8.0에서 한글을 지원할 수 있도록 로케일을 설정한 후 CUCM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UCM의 메뉴바는 상당히 체계적으로 되어있습니다. CUCM 설정시 맨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맨 위에서 아래쪽으로 메뉴를 클릭하면서 설정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System”의 하위 메뉴를 하나씩 설정해 보겠습니다.

 

Server 설정
여기에서 서버는 CUCM을 의미하고, 다른 표현으로는 “Node”라고 합니다. CUCM 클러스터를 구성할 경우 클러스터 내의 모든 CUCM 서버를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해야 합니다.  설정하기 전에는 Publisher 한 대만 보일 것입니다.

 

Server의 Hostname 이나 IP address를 클릭하게 되면 수정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세부 옵션을 살펴보겠습니다.

  • Hostname / IP address
    DNS를 사용 시 Hostname을 사용해도 되지만, DNS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반드시 IP address를 명기해야 합니다. 
  • IPv6 name 및 MAC Address
    Optional이므로 따로 명기하지 않습니다. 
  • Description
    알기 쉽게 서버의 용도를 명기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Publisher (First Node) 외에 다른 Node가 더 있다면, 차례차례 입력합니다. 대규모 클러스터를 계획하고 있다면, TFTP, DHCP, MoH 등 각각의 역할을 분산하여 설정할 것입니다. 여기서 기억해야 할 점은 클러스터 내에 몇 대의 CUCM 서버가 연결되어도 상관없지만, Call Processing으로 사용하는 CUCM은 8대가 최대입니다.

 

Cisco Unified CM 설정
위에서 설정한 서버에 대한 각각의 역할과 특성을 나타냅니다. 아래 그림처럼 CUCM 서버의 수 만큼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각 CUCM의 세부 항목을 나타낸 것입니다.


각 항목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 CTI ID
    CTI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식별자로써, 설정할 수는 없습니다. CTI 연동이 필요할 경우 사용되므로 여기에서는 무시합니다.

  •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Server 및 Name
    서버는 CUCM이 설정되어 있는 서버를 가리키며, Name은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 Auto Registration Information
    Auto Registration이란, 관리자가 IP Phone에 대한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CUCM에 등록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단순 테스트용도로 사용할 계획이라면, 활성화하게 되면, IP Phone은 Starting Directory Number를 기준으로 차례 차례 전화번호를 할당 받습니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Auto-registration Disabled on this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라는 옵션을 Uncheck한후 Ending Directory Number를 설정해 주면됩니다. 여기에서 Directory Number는 내선번호를 의미합니다.

    - Partition 및 External Phone Number Mask:
    CUCM 내의 모든 전화번호는 Parition이라는 그룹명을 할당 받습니다. 기본적으로 <None>이라는 Partition 그룹에 속하게 되므로, Partition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artition 설정은 나중에 다루겠습니다.  

    External Phone Number Mask도 나중에 설명 드리겠습니다. 간단하게 사용하기 위해 Auto Registration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두 빈칸으로 두셔도 됩니다.

  • CUCM TCP Port Settings for this Server
    TCP 포트 번호 변경이 가능하지만, Default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여기에 설정된 기본값을 그대로 사용하고, CUCM Name을 알기쉽게 바뀌기만 하면 됩니다. 
 

Cisco Unified CM Group 설정
CUCM Group은 CUCM 클러스터 내 Call Processing 서버의 그룹을 나타내며, 최대 3대 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CUCM Group은 Device가 등록할 서버를 결정할 때 사용합니다.  맨 위에 있는 서버가 Primary, 두번 째는 Secondary, 세번째 서버를 Backup서버라고 부릅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1대만 설정되어 있습니다. “Available CUCM” 칸에 있는 CUCM 서버를 아래 “Selected CUCM” 칸으로 옮기면 설정됩니다.

 

CUCM Group을 이용하면, 다음 두 가지의 장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Redundancy
    CUCM Group에는 최대 3대의 Call Processing을 담당하는 CUCM이 할당되기 때문에 서버 장애 발생시에 Primary –> Secondary –> Backup 서버로 넘어가면서 Device들이 등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즉, 3중 백업이 가능합니다.

  • Call Processing load balancing
    Call Processing을 담당하는 CUCM 서버별로 등록되는 Device의 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만일 3대의 CUCM으로 클러스터를 구성할 경우 Publisher를 제외한 두대의 Subscriber에 각각 500 대의 전화기를 수용하고자 할 경우, CUCM Group을 두 개를 생성합니다. 1번 Subscriber을 Primary로 하는 CUCM Group과 2번 Subscriber를 Primary로 하는 CUCM Group을 만드는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 “ Auto-registration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Group” 이라는 옵션은 Auto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Device를 위한 Default CUCM Group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클러스터 내에 여러개의 CUCM Group을 생성하여도 단지 하나의 CUCM Group만 설정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설정된 CUCM Group을 표시합니다.

설정된 CUCM Group을 각각의 Device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Device Pool에 할당해야 하며, 각각의 전화기들은 자신들이 사용할 Device Pool을 설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Phone NTP References 설정
NTP는 Network Time Protocol입니다. CUCM 서버를 위한 NTP는 설치 중에 이미 설정하였을 것이며, SIP 전화기의 시간 설정을 위한 NTP는 여기에서 설정합니다.  만일 NTP Server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 전화기들의 Date 및 Time을 받기 위해서 SIP REGISTER 메시지를 사용합니다. 즉, 전화기가 REGISTER 메시지를 전송한 후 CUCM으로부터 200 OK를 받게 되며, 이때 포함된 date 헤더를 이용합니다.

아래 그림은 NTP 설정화면으로, NTP 서버의 IP 주소와 Mode를 설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Mode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Direct Broadcast
    NTP 서버는 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브로드캐스트를 전송합니다. 이때, IP Phone은 NTP Reference에 설정된 NTP 서버일 경우 자신의 시간을 바꾸도록 합니다.

  • Unicast
    전화기는 NTP 서버에 NTP query를 전송하고, NTP로 부터 시간을 받게 됩니다. 

참고로, CUCM 8.0은 NTP를 위한 Anycast 및 Multicast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래는 설정화면입니다.

 

 
NTP를 설정하게 되면, 아래 그림처럼 표시됩니다.

 

이제 전화기를 위한 NTP Server를 설정했습니다. 전화기에 이 값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Date / Time Group 에 포함되어야하고, 이 Date / Time Group은 Device Pool에 적용되게 됩니다. 전화기는 Device Pool에 의해 시간 설정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설정하는 중에 NTP 서버가 없을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에는 시스코 라우터를 NTP 서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ntp master
   ntp server 20.20.20.254

NTP를 설정하면, 일괄적으로 시간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입니다.

그렇다면, NTP를 반드시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CUCM 설치 시에도 NTP가 없다면, 직접 수동으로 설정하면됩니다. IP Phone들은 CUCM에 수동 설정된 값을 자동으로 활용하게 됩니다.

 

Date / Time Group 설정
Date / Time Group은 시간 표시 방법을 결정합니다. 아래 그림은 Default Date/Time Group을 표시한 것입니다.

 

아래 그림은 설정화면이며, 세부 항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Date / Time Group Information
    이 박스는 제가 설명하지 않아도 대충 알 것입니다. Date/Time Group 이름을 설정하고, Time Zone과, 시간 구분, 날자 표시형식, 시간 표시 형식을 결정합니다.

  • Phone NTP Reference for this Date / Time Group
    이미 설정한 NTP Reference를 “Add Phone NTP Reference” 를 이용하여 추가합니다. SIP Phone 들은 이 값을 이용하게 됩니다.

     


Presence Group 설정 (생략 가능)
Presence (상태 정보) 를 사용하는 다양한 Device에 대해 그룹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처럼 Default Presece Group은 Standard Presence Group이며, 다음과 같은 단말들이 이 그룹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Directory number
  • SIP Trunk
  • Phone
  • Application User
  • End User

위에서 Directory Number는 Presence entity이며, 나머지는 Watcher입니다. Watcher는 Presence를 가지는 presence entity를 모니터링하는 디바이스입니다. Presence Group을 설정하게 되면, 그룹간에 Presence를 넘겨줄 지 블럭할 지등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Presnece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만 여기에서는 생략합니다.

Presence Group을 설정할 정도는 Advanced User입니다. ^^

 

Region 설정 (Default 값 이용)
Region은 Region과 Region간에 음성과 영상의 코덱을 결정하기위해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는 WAN 대역폭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지역적으로 구분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Use System Default” 또는 “Keep Current Setting”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영상의 경우 System Default 값은 384kbps이므로, 텔레프레즌스와 같은 제품 사용시는 변경이 필수적입니다.

Region은 특정 지역의 WAN 대역폭이 매우 협소할 경우에 추가하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단순하게 설정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설정 변경을 생략합니다.  

 
여기에서 기역해야 할 점은 CUCM 8.0은 특정 코덱을 지정하는 것이 아닌 음성이나 영상이 사용할 대역폭을 지정합니다. 만일, 64Kbps를 설정했다면, 64Kbps를 사용할 경우 가장 최적의 코덱을 자동으로 협상합니다.

 

Device Pool 설정
기본 설정 중에 가장 중요한 설정입니다. Device Pool은 Device의 일반 속성을 정의합니다. Divice Pool은 Route List, Trunk, Gateway, IP Phone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됩니다. 여기에서 가장 필수적인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evice Pool Name 
    Device Pool의 이름을 정의합니다. Device Pool은 지역적인 구분에 의해 할당되는 경우가 많으며, Device Pool을 많이 생성해야 될 경우에는 정확하게 이름을 명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그림의 “Default” 라는 Device Pool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입니다.

  •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Group
    위에서 설정한 CUCM Group을 선택합니다.

  • Roming Sensiitive Setting 박스의 Date / Time Group 및 Region
    위에서 설정한 값들을  선택합니다. 

     


나머지 항목은 다음 장에서 살펴볼 것입니다.


Enterprise Parameter 설정
가끔씩 실수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System >> Server 설정 시에 DNS를 사용하지 않기에 IP address로 변경을 했습니다. 따라서, 아래 "Phone URL Parameters" 박스 내에 URL은 기존의 Hostname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정보는 전화기가 CUCM 등록시에 다운로드 받기 때문에 IP address로 변경해주지 않으면, Phone에서 XML 관련 서비스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http://cm8:8080/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http://20.20.20.100:8080/ 로 모두 변경해야 합니다.

 


마치며
CUCM 8.0의 기본적인 설정항목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여기에서 말한 항목들을 모두 Default 상태로 두고 직접 전화기를 붙여도 동작은 합니다만, 내가 무엇을 설정한 것인지를 인지하고 메뉴와 메뉴간의 상관 관계를 터득해야 나중에 응용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Device Pool에서 다루지 않은 항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
라인하트 (CCIEV #18487)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새로운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ucwana (라인하트의 트위터 )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벤더에 상관없이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cafe.nexpert.net/ (체계적인 UC 정보의 전달 및 나눔을 위한 카페)
정리하고 보니 나도 디지털 네이티브 ^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