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sco UC Manager

[연재] UC on UCS 길라잡이 - 1. UC on UCS 개요

                                                                          글 싣는 순서
                                                                          1. UC on UCS 개요 
                                                                          2. C210 서버 박스 풀어서 부팅하기
                                                                          3. SCU를 이용하여 서버 설정하기
                                                                          4. C210 서버에 VMWare 설치하기
                                                                          5. VMware ESXi 4.1에 CUCM 설치하기

 
이번 연재에서는 시스코 UC 엔지니어를 위해 서버 주문에서 설치 완료까지 필요한 부분들을 따라가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스코 UC 엔지니어가 기본적인 UCS 및 VMware 지식만으로 UCS서버에 CUCM을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연재를 준비 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제가 아는 만큼만 설명하겠다는 것입니다. ^^

사실, 기존 MCS 7800 서버는 어플라이언스 모델로써, 엔지니어가 OS나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이 없이도 CUCM을 구동하는 데 문제가 없었지만, UCS는 Bare-metal (빈 깡통)으로 배달되기 때문에 CUCM 설치 이전 단계를 엔지니어가 직접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연재가 UC 엔지니어들에게 UCS 서버가 친숙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사실 한 글자 차이라 별로 어렵지도 않을 것입니다. ^^

 

시작하며
이 글은 UC on UCS 중에서도  외부에 Storage를 사용하는 구조는Data Center 엔지니어의 도움 없이는 디자인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배제하였습니다. 데이타센터 엔지니어가 아닌 바에 Storage 및 SAN 을 공부할 이유가 없다고 믿습니다. UC 엔지니어가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MCS 7825 서버를 대체하는 C200 과 MCS 7845 서버를 대체하는 C210 서버만을 대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위의 사진은 범용 랙 마운트형 서버인 UCS C210 M2 과 C200 M2 입니다. 일반적인 서버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C210 M2 C200 M2
Form-Factor 2 RU 1 RU
Processor 2 Xeon 55xx or 56xx 2 Xeon 55xx or 56xx
Memory Slots 12 DDR3 DIMM Slots 12 DDR3 DIMM Slots
Memory Capacity 96 GB 96 GB
PCIe slots 5 2
Ethernets 3 10/100/1000 포트 3 10/100/1000 포트
Hard Disk up to 16 SFF SAS/SATA up to 4 SAS/SATA
Optional RAID card support support
MCS와 비교 MCS 7835/7845 대체 가능 MCS 7825 대체 가능

단순하게 7825용은 C200으로, 7835 및 7845 용으로는 C210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UC on UCS 프러덕트 네이밍
UC on UCS 서버를 위한 프러덕트 네이밍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UC 어플리케이션용 UCS 서버 프러덕트 명은 UCS-C210M2-VCD2 라는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프러덕트 명을 추상화해 보면, UCS-xxxxyy-VDzz 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 부분별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UCS-
    기존 MCS 서버가 MCS로 시작하였듯이 UCS 서버는 UCS로 시작합니다.

  • xxxx
    서버 모델명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B200, C210, C200으로 표기합니다.

  • yy
    서버 제너레이션 명을 나타내며, M1, M2, M3로 표기합니다. C210의 경우 M2 까지 나왔으며, M1은 단종되었습니다.

  • -VCzz
    ”VC”는 Virtualized Collaboration의 약자로써 UC on UCS를 위한 하드웨어 조합을 나타냅니다. 즉, Cisco UC Application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하드웨어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메모리, 하드디스코, CPU 등의 최적 조합을 나타냅니다. 뒤에 “zz”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VCS1 : “SAN storage” 구성을 위한 TRC 1
    -VCD1 : “Disks(또는 DAS) storage” 구성을 위한 TRC 1
    -VCD2 : “Disks(또는 DAS) storage” 구성을 위한 TRC 2

이제 “UCS-C210M2-VCD2” 라는 프러덕트의 의미를 분석해 보면, C210 M2 UCS 서버로 로컬 하드디스크를 활용하는 단독형 서버 구성으로 Cisco UC Application을 설치하기 위한 TRC 2 번 구성임을 나타냅니다. 이제 TRC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TRC의 개요 및 구성
TRC는 “Tested Refrence Configuration”의 약자로 시스코 UC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하드웨어 구성한 UCS 서버를 나타내며, 단순 UCS 서버를 주문할 때 하드디스크, 메모리, CPU 등에 대한 디자인없이 하나의 프러덕트 명으로 표시하여 UC 엔지니어들이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또한, TRC는 시스코의 랩에서 모두 테스트 된 구성이므로 장애 발생 시 시스코 TAC으로 부터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TRC 구성에 주로 사용될 두 가지 구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UCS-C210M2-VCD2
    C210M2 서버의 TRC #1 구성으로 DAS 기반이며, 4개의 VM (Virtual Machine)까지 설치할 수 있습니다. C210 서버이므로 하나의 VM 당 7,500개의 Device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UCS-C200M2-VCD2
    C200M2 서버의 TRC #1 구성으로 DAS 기반이며,4 개의 VM (Vitrual Machine)까지 설치할 수 있습니다. C200 서버이므로 하나의 VM 당 1,000 개의 Device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TRC로 구성된 장비의 하드웨어 사양을 살펴보겠습니다.

  UCS-C210M2-VCD2 UCS-C200M2-VCD2
UCS 서버 C210 M2 서버 C200 M2 서버
CPU 2 Quad-core Intel 2.66 GHz Xeon E5640 processors 2 Quad-core Intel 2.13 GHz Xeon E5506 processors
RAM 48-GB RAM 24-GB RAM
Disk 10 146-GB Hard Drives with SAS expander 4 1-TB Hard Drives
Built-in Ethernet 2 for Network, 1 for CIMC 2 for Network, 1 for CIMC
추가 Ethenet 4 for Network  
최대 VM 구성 4 4

 이외에도 여러 TRC 구성이 있지만, C210 M1이 단종 및 Storage 기반 TRC를 제외하면 위의 표에 나타난 두 가지가 가장 많이 사용될 것입니다. TRC는 하드웨어 구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소프트웨어는 별도입니다. 소프트웨어는 UC 어플리케이션과 VMware vSphere ESXi를 말하여 UC on UCS 서버 주문 시에 함께 주문해야 합니다. 

 

VMware vSphere의 개요
가상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VMware에 대한 자료는 인터넷 검색이나 www.vmware.com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VMware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는 관계로 UCS를 이해 필요한 부분만을 정리하겠습니다.

 

위 그림은 VMware vSphere의 컴포넌트를 Layer별로 나열해 놓은 것으로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VMware ESXi 4.0 또는 4.1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리소스를 다수의 VM (Virtual Machine)에 할당할 수 있는 물리적인 서버에서 실행되어 가상화가 가능하게 합니다. ESXi는 물리적인 서버에 제일 처음 설치되어 리소스를 가상화시켜서 다수의 VM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Hypervisor(하이퍼바이저)입니다. 

  • VMware vSphere Client
    관리자가 원격에서 vCenter Server 나 ESXi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VMware vCenter Server
    VMware를 이용한 가상화 환경에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관리 호스트가 여러 대일 경우에는 각각의 호스트에 접근하여 관리하기가 어렵습니다. VMware vCenter를 이용하여 마치 하나의 호스트를 관리하듯 수 십 대의 호스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시스코 UC 솔루션을 위한 VMware
시스코 UCS 블레이드 서버 혹은 랙 마운트 서버 당 하나의 VMware ESXi 4.0 또는 4.1이 설치되어야 합니다. 아래 표의 “VMW-UC-STD-K9-1A”는 VMware ESXi 4.0 Standard Editon에 대한 라이센스로 2개의 CPU까지 지원합니다.   만일, VMware Advanced, Enterprise, Enterprise Plus Editon 와 같은 버전을 구매할 경우에는 Data Center 엔지니어에게 문의해야 합니다.

 “VMW-UC-STD-K9-1A” 프러덕트의 Description 에 “1yr support required”라고 되어 있듯이 서비스는 반드시 구매해야 합니다 .VMware를 구매하실 때 반드시 아래 서비스를 함께 구매하여 시스코 TAC (Technical Assistance Center)으로 부터 하드웨어 및 모든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관된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스코로부터 VMware  수량과 서비스 수량이 항상 동일하게 주문되어야 합니다.
"CON-ISV1-VSSTD1A"가 자동으로 선택되게 되어 있으며, Service Length는 1년으로 한정되므로 2년 이나 3년을 선택하게 되면 주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Cisco UC 어플리케이션
시스코 CUCM 라이센스 체계가 기존의 DLU (Device License Unit) 방식에서 UCL (User Connect License) 방식으로 전환되었습니다. UC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수 만큼의 라이센스를 주문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너무 전문적인 내용이라 생략하겠습니다.

 

마치며
드디어 UC on UCS 서버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지식과 주문하기 위한 방법들을 살펴보았으며, 다음 장에서는 배달된 C210 Mx 서버를 박스부터 하나 하나 분리해서 부팅하는 과정까지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
라인하트 (CCIEV #18487)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ucwana (라인하트의 트위터 )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벤더에 상관없이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cafe.nexpert.net/ (체계적인 UC 정보의 전달 및 나눔을 위한 카페)
정리하고 보니 나도 디지털 네이티브 ^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