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출시되는 IP Phone 혹은 Soft Phone에는 G.722 iLBC를 지원하는 것들이 많다. 그 말은 실제 Codec을 사용한다는 말이기도 하지만, Speaker나 Handset, Headset이 그 음질을 지원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Cisco를 비롯하여 Yahoo, MSN, Earthlink, Google, Skype,AOL 등 여러 제품들이 음질을 위하여 G.722, iLBC를 사용하는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그래서 어떠한것이 기존 G.711과 틀린지 두 Protocol의 특성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Wideband (G.722)
G.722 (Wideband)는 48-64kbit/s 로 운영되는 ITU-T 표준 코덱이며 Split band ADPCM을 기본으로 한 기술이다. G.722은 G.711보다 많은 Bandwidth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패킷로스에 대한 음질 저하가 적다. 또한 iLBC와 마찬가지로 Royalty가 없는 코덱이다.
1.음질 재생 음역은 50Hz ~ 7000Hz로 G.711에 두배 정도의 풍부한 음역을 가지고 있다.
Wideband의 음역은 실제 사람의 가청대역을 기준으로 보면 풍부한 음역대는 아니지만 기존 전화 보다 생생한 음질을 제공한다. 실제 지인이 테스트해 본 결과 아주 가까이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iLBC는 음성코덱으로 iLBCfreeware.org 소스를 공개한 Free Speech Codec이다. iLBC는 narrow band를 위해 디자인 되었으며, 기본적으로 G.729 나 G.723보다 좋은 음질을 표현하며 Packet Loss에 강한 코덱이다. iLBC는 Network의 Delay나 Connection Lost 같은 Packet Loss의 상황에서도 음직을 부드럽게 유지 시켜준다.
1.음질 G.729나 G723보다 Packet loss에 강하다는 표현은 아래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다.
Packet Loss의 퍼센티지가 높아 질수록 음질은 당연히 좋지 않아진다. 하지만 G.723나 G.729 보다 iLBC의 MOS 값이 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Packet Loss가 15%나 돼도 MOS 값은 2.5이상 유지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 Bandwidth (대역폭) iLBC는 30ms의 프레임 사이즈를 위해 13.33kbps의 대역폭이 필요하며, 20ms의 프레임 사이즈를 위해 15.2kbps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