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1. BcN의 개요 2. BcN 망 구조 3. 서비스 및 제어 계층 4. 전달망 계층 5. 유선 가입자망 계층 6. 무선 가입자망 계층 7. 방송 가입자망 계층 8. 홈 및 단말 계층
BcN 망 구조는 1편에서 이야기 했듯이 서비스 제어 계층, 전달망 계층, 가입자망 계층, 통신 및 단말 계층으로 총 4계층으로 나뉩니다. 각 계층에 대한 요약 설명 및 진화방향에 대해 간단하게 "1. BcN의 개요"에서 살펴보았습니다. 2편에서는 전체적인 망의 목표망 및 주요 서비스에 대해 짚어 보겠습니다.
BcN의 목표망 아래 그림은 BcN의 목표망입니다. BcN의 진화를 통해 아래 그림처럼 최종 진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양한 가입자 망에 접속된 이용자별, 서비스별 요구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종단 간(end to end)에 차별화 하여 보장 할 수 있는 BcN 구축이 목표입니다. BcN의 4 계층의 구성을 실제 구현의 입장에서 예시한 것입니다. 전달망 계층은 주요도시를 연결하는 Core Network 및 대도시 내부의 구간들을 연결하기 위한 Metro Network으로 구현되고, 가입자 망 계층은 유선망, 무선망, 케이블망과 이들 간의 전달망 접속을 위한 엑세스 노드로 구성된 가입자 네트워크 형태로 구현이 예상됩니다. 망 자원의 효율적 제어, 호 처리 및 보안을 위한 망 자원 제어, 유무선 통합 IMS 및 통합 보안 플랫폼 등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및 응용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과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위한 서버들이 구현되고, 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홈 및 단말이 출현 예상됩니다.
목표망에 나타난 주요 서비스 및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e-work 또는 u-work
e-work 는 단순 재택 근무 형태에서 급속한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을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기반하에 근로자 편익을 증진하기 위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재택근무, 원격센터에서 근무, 이동 원격근무로 세분할 수 있겠습니다. 즉,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회사의 망 자원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회사 에 있는 것과 똑같은 업무환경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BcN이 구축되면 이러한 e-work 또는 u-work가 더욱 활성화될 것입니다.
Home Netwrok
홈 네트워크란 가정내의 각종 정보 가전 및 단말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하나의 단일한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좀 광의의 개념으로 보면, 가정내의 컴퓨터, A/V 기기,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제어나 보안기기, 게임기 등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묶어서 정보를 공유하고 제어하는 모든 기술 및 관련 서비스를 총칭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댁내의 모든 시스템은 단일한 관리 서버에 의해 제어되고, 홈 네트워크를 통해 집안에서 사용자는 편리한 삶, 안전한 삶, 즐거운 삶, 경제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홈 네트워크를 위한 유무선 기술에 대한 소개는 1편에서 다루었으며 자세한 사항은 "8. 홈 및 단말 계층"을 다룰 때 다시 한 번 언급할 것입니다.
지능형 서비스 로봇 (URC,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URC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와 함께하며, 현재의 상황을 인지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로봇입니다. 기존의 로봇은 필요한 모든 기능을 로봇 자체 내에 탑재토록 하여 비용과 기술적 제약 사항이 있었으나 유비쿼터스와 정보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로봇은 외부 서버와 기능을 분담하여 비용 절감 및 유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입니다. URC는 2010년 BcN이 체계적으로 갖추어 지면 생활 속에 널리 보급될 전망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로봇을 통해 현재의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고기능 서버에 의해 처리된후 결과값을 로봇으로 전송되는 네트워크형 로봇 시스템입니다.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이란, 기존 인간과 컴퓨터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일상 생활에 산재된 물리적 대상을 추가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으로 필요한 모든 곳에 수많은 센서 노드를 부착해 자율적으로 정보를 수집 관리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즉, 물리적 공간에서 센서 노드를 설치 해 빛, 소리, 온도, 움직임 같은 호나경 정보를 감지해 정보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구조를 가진 네트워크 이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며, 최근에는 IP를 이용하는 IP-USN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나머지 구성 요소는 연재를 진행하면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BcN 개념도
BcN의 각 계층별 목표망의 특징을 알 수 있는 개념도입니다.
서비스 제어 계층 - 신규 서비스 도입에 용이한 개방형 서비스 - 차별환된 서비스 품질 제어 - 서비스 사용 인증 및 권한 제공 - 서비스 사용에 대한 과금 - 망간 연동을 위한 제어 기능 제공
전달망 계층 - 다양한 가입자망 접속에 대한 통합 - 품질 보장형 SEN (Service Edge Node) 및 MPLS TE를 통한 차별화된 품질 제공 - 세분화된 보안성 제공
가입자 계층 - 통신방송 융합 및 단대단 품질 보장 - 광대역화를 위한 FTTH 및 HFC 고도화 - Common Access Node를 통한 가입자망 통합
홈 및 단말 계층 - 지능형 홈서버와 유비쿼터스 단일망의 홈 네트워크 - 통합형 단말
또한, bcN 목표망의 또하나의 특징은 연동으로 크게 전달망 연동, 망 제어 연동, 서비스 연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달망 연동 - 물리적인 측면에서 네트워크 기술 간의 연동
망 제어 연동 - 네트워크 자원 제어 - 트래픽에 대한 인증, 보안 - 사용자 정책 등을 관리
서비스 연동 - 여러 서비스 제공 서버들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
BcN 목표 수준
BcN은 각 계층별 세부적인 기술 또는 서비스를 정의하고 그것의 목표 수준을 설정한 것입니다. 아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표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30FPS/D1 급 영상전화 초당 30 프레임을 처리하며 D1급은 720*480을 의미합니다. 실시간으로 영상을 주고 받는 고화질의 영상 통화 구현이 목표입니다. 나중에 영상 코덱에 대해 따로 설명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입니다.
광대역 음성 코덱 및 CD급 음성 품질 광대역 음성 코덱은 G.722 wideband가 있으며, 7Khz까지를 디지털화합니다. CD의 경우 20KHz까지를 디지털화하므로 더욱더 풍성하고 생생하게 음성을 전달하여 현장감을 최대한 살릴수 있습니다.
음성 코덱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를 하셔야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이 블로그의 VoIP 디렉토리에 "음성품질"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광대역 유무선 망간 통합 서비스 제공 유무선 망간 통합 서비스의 대표적인 것이 영상전화일 것입니다. 영상 게이트웨는 3G망의 H.324M 코덱을 유선망의 H.264 코덱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영상 통화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것으로는 문자서비스, 문자 채팅 등과 같은 것들이 있겠습니다.
HD급 품질 보장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IPTV등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해 720p 또는 1080p등의 HD급 영상을 전송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끊김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현재는 버퍼링을 통해 비실시간 전송만을 합니다만, 향후에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실시간 스포츠 중계나 뉴스서비스도 가능할 것입니다.
Open API Gateway 개방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Open API Gateway를 두어서 서비스합니다. BcN망을 잘 몰라도 Object를 통해 Gateway에 정보를 요청하거나 서비스를 요청하면 그 결과값을 정해진 포맷으로 돌려주어서 쉽게 서비스를 망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유무선 통합 및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 제어 플랫폼 대표적인 것이 IMS (IP Multimedia Subsystem)입니다. 개념도에서 보았듯이 Core IMS, PSTN Emulation, Straming/Contents Broadcasting 으로 세부적인 제어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자세한 것은 다음 편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IPv4/IPv6 전면 지원 BcN에서는 IPv6를 도입하여 IPv4와 IPv6를 한 플랫폼이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스택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와이브로 나 이동통신망이 먼저 IPv6를 도입할 것이며,최종에는 Core 전달망이 IPv6로 전이할 것입니다.
이동성 이동성을 지원한다는 것은 무선망에서 필수적인 요소 입니다. 여기에서는 Mobile IPv4 및 Mobile IPv6를 전면 도입하여, L3 이상에서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플로우 기반 QoS가 가능한 테라급 통합망 구축 IPv6에서는 브로드캐스트가 없으며, 멀티캐스트로 이루어진 망이 됩니다. 또한, 통신 방송 융합을 통해 멀티캐스트 트래픽이 더욱 더 증가할 것이며, 이런 멀티캐스트는 품질이 보장이 아주 중요합니다. 대부분 실시간 중계나 방송 등이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트래픽을 플로우별로 요구 서비스 품질을 충족해 줄수 있도록 서비스가 될 수 있는 통합망이 구축될 것입니다. 플로우 기반 QoS는 MPLS Traffic Engineering이 필수적인 요소이며, 각 라우터들이 플로우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자원을 예약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현재는 QSS(QoS Switching System)이 개발되어 있으며, 망의 Edge에 놓일 것입니다.
다음의 5가지 요소가 같을 경우 하나의 플로우로 장비는 인식을 합니다. - IP Source Address - IP Destination Addrtess - Source Port - Destication Port - Protocol
기타 사항들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대충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각 연재를 진행하면서 모두 자세히 설명할 것입니다.
BcN망에서의 서비스
BcN망 구조가 이루어지고 체계가 갖추지면 아래 그림과 같은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결언
이렇게 2편에 BcN 망구조에 대해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지금까지 내용은 "BcN 표준 참조 모델 2.0"에서 발췌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풀어서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