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cN

[연재] 4G 이야기 - 1. IEEE 802 무선 기술의 흐름

                                                                                 글 싣는 순서
                                                                           1. IEEE 802 무선 기술의 흐름 
                                                                           2. 이동 통신 기술의 흐름
                                                                           3. 3G 영상 통화 시대
                                                                           4. 4G를 향하여


광대역 통합망인 BcN은 무선 가입자망, 유선 가입자망, 방송 가입자망으로 크게 나눕니다.  무선 가입자망은 WiBro, WCDMA, HSDSPA, CDMA, 4G 등이 있을 것입니다. 향후 BcN에서는 유무선 통합망, 유무선 통합 서비스, 유무선 통합 인증 등 다양하게 통합이 이루어 질 것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엔진이어가 유무선 통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선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일 것입니다.

그러나, 네트워크 엔진이어가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해 접근하려고 할 때 처음 무선 통신 기술 용어에 한 번 좌절합니다 예를 들면, HSDPA, HSUPA, Long Term Evolution, Mobile WiMAX, WLAN, Blutooth 등의 용어가 너무 생소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IEEE 802, 3GPP, 3GPP2, ITU, ETRI 등 다양한 표준 단체에서 비슷한 표준 만들기 때문인 것도 같습니다. 이 연재는 네트워크 엔진이어가 무선 기술에 대한 세부적인 이해 보다는 각각에 대해 구분하고 쉽게 무선 기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쓸 것입니다.

제목을 "4G 이야기" 로 잡은 것은 무선에 대해 이야기 하다보면 최종 Wireless MAN 또는 WAN 부분에서의 무선 가입자망의 진화가 4G로 이루어 지기 때문입니다. 

유무선 통합이라는 관점에 있어서 망간 연동이라 함은 단순히 All IP 기반으로 망을 연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이 완벽하게 상호 연동 되어한다는 점이며,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특성에 따른 각각의 요구 대역폭이 다를 것입니다. 유선 영역에서도 많은 대역폭을 요구하듯이 무선 영역 (AIr) 상에서도 대역폭이 충분하게 확보 되어야 합니다. 4G는 정지간 최대 1Gbps를 공유할 수 있는 엄청난 기술임에 틀림이 없으며, 이 기회의 땅에 들어가기 위한 격전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ITU에서는 4G에 대해 "IMS Advanced"라는 명칭으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고 있으며, 모든 단체에 관련된 기술 스펙을 추천받고 있습니다. IEEE 802도 4G 관련 기술 스펙을 ITU에 제안하여, 4G의 한 귀퉁이를 차지하기 위해 발을 담글 것입니다.  

----------------------
라인하트
CCIEV #18487
linecard@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