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llaboration

CUPS 7.0 - 상세설정


자 이제 본격적인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인 세팅을 안해보신 분들은 CUPS 7.0 – 기본설정( http://www.nexpert.net/107 )을 먼저 숙지하시길 추천합니다.

CUCM을 셋팅해 보신 분들은 당연하다고 생각이 드실 겁니다. 처음에 시스템 설치하고 나서 뭐하죠?

일단, 호스트네임 IP로 바꾸고, 필요하면 라이센스 올리고, 그다음에 서비스 activation시키죠?

CUPS도 동일합니다. 일단 7.X부터는 데모라이센스만으로도 서비스에 제한이 없으니 라이센스 파일 올리는 건 생락하구요, 호스트이름 바꾸고, 서비스 활성화 시키고 본격적으로 설정에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Server 이름 IP로 변경 -IP로 변경하지 않으면 CUPC실행시 서버목록에 호스트이름이 보여서 매번 IP로 변경을 해주거나, DNS 설정을 해줘야만 로그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스트이름을 IP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CUPS->System->Topology->DefaultCUPSubcluster 아래 보면 서버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Name을 IP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service activation

CUPS->Cisco Unified Serviceability->Tools->Service Activation

서버를 선택하고 모든 서비스를 활성화시킵니다.

 

CUPS의 각 기능 구현을 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CUPS를 사용할 User들에게 그 권한을 부여해주어야 합니다. 물론 기능 구현시 licence가 소모되니 각 기능별 소요되는 license를 숙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RCC 모드(2) : CUPC S/W license(1)+CUPS User feature license(1)

소프트폰 모드(5) : RCC 모드 라이센스(2) + SIP softphone Device license(3)

CUCM->System->Licensing->Capabilities Assignment

각 User 별 세팅도 가능하고, User 선택후 Bulk Assignment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동시 적용이 가능합니다.

 



자, 아래 꽤 많은 내용의 설정이 전개되는데요, 무조건 하기 보다는 무엇이 필요한지 다시 한번 짚어볼 필요가 있겠죠?

CUPS의 주요 기본 기능

1. Presence(상태)정보를 제공해준다. CUPC나 기타 3rd Party Application이 그 정보를 사용합니다.

2. CUPC나 MOC를 이용한 전화기 제어. 일명 RCC(Remote Call Control)이라고 하는 기능입니다. 사용자의 요청을 CUPS가 받아서 CUCM에게 전달합니다.

3. CUPC를 이용한 UC 동작을 활성화 시킵니다. VM 연동, Collaboration 연동, LDAP 연동 등등…

 

설정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그림은 설정에 많은 도움이 되니 지속적으로 눈여겨 보시길 바랍니다.

Image:281208.jpg

차례.

1. Presence 설정(CUPS와 CUCM간의 SIP 규격)

1-1.CUCM system parameter 설정 - CUCM이 전화기의 상태정보를 CUPS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겠죠??

1-2.CUCM에서 CUPS Server 지정 – 이미 완료했습니다.(CUPS 7.0 – 기본설정 http://www.nexpert.net/107 참고)

1-3.CUCM SIP Trunk 설정

1-4.CUPS proxy domain 설정
1-5.CUPS에서 Presence Gateway 설정

 

2. AXL/SOAP 설정

2-1.CUPS의 Sync Agent 활성화 - 모든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완료

2-2.CUCM/CUPS에서의 AXL App User 설정 – 이미 완료했습니다.(CUPS 7.0 – 기본설정 http://www.nexpert.net/107 참고)

 

3. CTI 기능 설정(CUCM과 CUPC간의 RCC 규격) - OCS같은 3rd party 연동시 CUPS와 CUCM간의 CTI도 필요함

3-1.CUCM 각 subscriber에서 CTI Manager 활성화 - 모든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완료

3-2.CUCM에서 CTI Application User 설정 - CUPC가 CTI Manager로 로그인 하게 될 ID

3-3.CUPS에서 CTI Gateway 설정. CUPC에게 profile형태로 전달되어 CUPC가 직접 CUCM CTI Manager에게 요청

CUCM Phone과 User 설정 - CUPC에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RCC에 의해서 전화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합니다.

3-4. RCC 설정을 위한 해당 End User 및 Phone 설정

 

4. IP Phone Messenger 설정 – IP Phone의 XML Display를 이용해 Presence 확인 및 메시지 교환 기능이 가능함. CUPC의 Express 버전이라고 이해할 수 있음

4-1.CUCM Application User 추가 – IP Phone이 CUPS 애플리케이션에 접근시 사용할 ID

4-2.CUCM Phone Service 등록 – IP Phone의 Service 버튼 선택시 XML 메뉴가 보일 수 있도록 설정

4-3.CUPS IPPM 서비스 설정 - CUCM의 App ID와 동일한 설정

 

5.CUPC 설정

5-1.CUCM에서 Softphone으로의 CUPC 등록 – SIP Client로 등록

5-2. CUPS에서 CUPC 설정 – 각 서비스별 / 각 유저별 세팅

 

참고

LDAP 연동 – CUPC가 기본적으로 사용자 검색을 LDAP Search를 사용하므로, CUCM또한 LDAP 연동을 권장합니다. CUCM이 LDAP으로 부터 동기화한 End User정보는 다시 CUPS로 동기화 됩니다. 이때에는 AXL/SOAP를 사용합니다. LDAP 연동시 사용자 인증이 각 서비스별로 다를 경우 불편할 수 있으므로, 모든 서비스들은 사용자 인증을 LDAP authentication을 사용하도록 권고합니다.

LDAP Authentication이 설정될 경우, CUPC에서 로그인을 하게 되면,로그인 요청을 받은 CUPS는 LDAP server로 직접 인증요청을 시도하게 됩니다. 유저정보 동기화 과정과 인증 과정의 경로가 상이한 것을 유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DB 동기 : LDAP->CUCM->CUPS

사용자 인증 : CUPC->CUPS->LDAP (CUCM 생략)

1)CUCM LDAP 연동 및 인증 설정 (CUCM과 Active Directory 연동 http://www.nexpert.net/84 참조)

2)CUPC LDAP Search 를 위한 설정 (5-2. CUPC 설정부분에서 LDAP 구성 참조)

 

 

1.Presence 설정

1-1.CUCM Service Parameter 설정

CUCM->System->Service Parameter->CallManager 에서 System-Presence에 보면 "Default Inter-Presence Group Subscription" 값을 disallow에서 Allow Subscription으로 바꿉니다. 이 옵션은 기본적으로 CUCM이 클러스터내에서만 Presence 정보를 공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Trunk로 연결된 다른 클러스터 또는 다른 솔루션(여기서는 CUPS)과 Presence 정보 공유를 허락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1-2. CUCM에서 CUPS Server 지정 (http://www.nexpert.net/107)

1-3. CUCM에서 SIP Trunk 설정

1-3-1. SIP Trunk Security Profile 설정을 합니다. 이곳에서 SIP Trunk의 Presence 속성을 지정합니다.

CUCM->System->Security Profile->SIP Trunk Security Profile->Non Secure SIP Trunk Profile에서 아래 항목을 체크합니다.

• Accept Presence Subscription
• Accept Out-of-Dialog REFER
• Accept Unsolicited Notification
• Accept Replaces Header

1-3-2. SIP Trunk 설정

CUCM->Device->Trunk 에서 Add New –> SIP Trunk를 입력하고 다음값을 입력합니다.

Device Name : 임의 이름 (여기서는 Trunk-CUPS)

Device Pool : CUCM 설정에 따라 관리자가 결정함

Destination Address : CUPS의 IP 주소를 입력

Destination Port : 5060 (이전 버전에서는 5070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7.X부터는 5060)

SIP Trunk Security Profile : Non Secure SIP Trunk Profile 선택(앞서 설정한…)

SIP Profile : Standard SIP Profile 선택

1-4.CUPS proxy domain 설정
CUPS->System->Service Parameter->Cisco UP SIP Proxy 에서 Proxy Domain을 설정합니다.
domain은 실제로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Enterprise domain을 사용합니다.

image

1-5.CUPS Presence 설정

1-5-1.SIP Trunk 설정

CUPS->Presence->Settings 에서 CUCM에서 설정한 SIP Trunk를 선택하고 Enable 체크를 합니다.

 

1-5-2.Presence Gateway 설정

CUPS->Presence->Gateways에서 CUCM Type의 Presence Gateway를 추가합니다.

1-5-3. Proxy Server Setting 설정

CUPS->Presence->Routing->Settings

Method/Event Routing Status : On

Preferred Proxy Listener : Default Cisco Unified Presence HTTP Listener 선택

 


2. AXL/SOAP 설정

2-1.CUPS의 Sync Agent 활성화 - 모든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완료

2-2.CUCM/CUPS에서의 AXL App User 설정 – 이미 완료했습니다.(CUPS 7.0 – 기본설정 http://www.nexpert.net/107 참고)

CUPS->System->CUCM Publiser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CUCM  연동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CTI 기능 설정

3-1. CUCM의 각 subscriber의 CTI Manager 활성화 (완료)

3-2.CUCM에서 CTI Application User 설정

CUCM->user Management->Application User

새로운 App user 생성하는데 (여기서는 임의대로 CtiGW로 생성함) 이때, RCC로 사용할 전화기를 Controlled Devices에 포함시킵니다.

위의 App User를 각각 CTI enabled user Group과 Standard CTI Allow Control of All Devices에 포함시킵니다.

3-3 CUPS CTI Gateway 설정

CUPS->Application->Deskphone control->Settings

Application Status : On

Application Username / Password : CUCM에서 설정한 값

CUCM Address : CUCM Call Processor IP Address

위의 값을 해당 User에게 할당해야만 RCC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CUPS->Application->Deskphone control->User Assignment 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User를 체크한 후 Assign Selected Users 클릭하여 할당을 완료합니다.

참고)CUCM에서 Capabilities Assignment 설정과 AXL 설정에 문제가 없고, Sync Agent가 동작중이라면 User 정보가 동기화 되어서 CUP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4. RCC 설정을 위한 해당 End User 및 Phone 설정

3-4-1. User와 매칭되는 전화기의 CTI 제어 기능 설정

Device->Phone->Allow Control of Device from CTI 체크가 되어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3-4-2. 해당 End User 세팅에서 사용하게 될 전화기 등록(Device Association)을 하고 , primary extension을 지정합니다.

CUCM->User Management->End User

Device Associations에서 “Device Association”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에서처럼 해당 전화기/전화번호를 선택합니다.

아래 화면은 Device Association과 Primary Extension(5001)을 설정한 화면입니다.

 

3-4-3.Standard CCM End User 와 Standard CTI Enabled User Group에 각 End user를  등록합니다.

3-4-4.각 전화번호별 User 연결 설정을 합니다.

 

4. IP Phone Messenger 설정

4-1.CUCM Application User 추가

CUCM->User Management->Application User에서 새로 등록하면 됩니다.

이때, CtiGW 등록시와 마찬가지로 Controlled Device에 IPPM를 사용할 전화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4-2.CUCM Phone Service 등록

4-2-1. Phone Service 생성

CUCM->Device->Device Settings->Phone Services에서 서비스를 등록합니다. 이때, Service URL이 중요합니다.

http://my-cups:8081/ippm/default?name=#DEVICENAME# 라고 입력하는데, 이때 my-cups를 해당 네트웍의 CUPS IP 주소로 바꿔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4-2-2.각 전화기에 Phone Service 등록

CUCM->Device->Phone에서 전화기를 선택한 후 아래화면과 같이 우측상단의 Subscribe/Unsubscribe Services 메뉴를 선택합니다.

4-3.CUPS IPPM 서비스 설정

CUPS->Application->IP Phone Messenger->Settings에서 CUCM의 동일한 값으로 설정을 합니다.

 

5.CUPC 설정

5-1.CUCM에서 Softphone으로의 CUPC 등록

CUCM->Device->Phone->Cisco Unified Personal Communicator 선택

모든 CUPC는 UPC로 시작하되 UserID를 대문자로 명시합니다. 예UPCNETCREAT

Owner User ID 선택 : CUPC로 로그인할 ID 선택

Allow Control of Device from CTI를 Uncheck

Digest User ID 선택 : CUPC로 로그인할 ID 선택

CUPC로 제어할 데스크폰과 동일한 전화번호를 선택해서 Line Share를 합니다.

데스크폰과 마찬가지로 Line에서의  User associate를 합니다.

5-2. CUPS에서 CUPC 설정

5-2-1. TFTP Server 설정과 LDAP Attribute Map 설정

CUPS->Application->Cisco Unified Personal Communicator->Setting 에서 다음을 세팅합니다.

Proxy Listener  : Default Cisco SIP Proxy TCP Listener를 선택합니다.

TFTP Server : CUPC가 소프트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SIP 설정을 가져올 수 있는 CUCM의 TFTP 주소를 입력합니다.

LDAP Attribute Mapping : CUPC에서 LDAP Search를 하게 되면 AD에 세팅되어 있는 각종 값을 가져와서 보여주게 되는데, 보여지게 되는 각 필드값에 대한 정의를 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버전별 / 사업장별로 세부적인 세팅이 다를 수 있으니 AD에 입력되어 있는 값에 따라 튜닝이 필요한 필드입니다. 여기서는 그냥 두겠습니다.

5-2-2.LDAP Server 설정

CUPS->Application->Cisco Unified Personal Communicator->LDAP Server 에서 Server 정보를 입력합니다.

 

CUPS->Application->Cisco Unified Personal Communicator->LDAP Server Profile 설정

기존에 CUCM에서 LDAP 연동하는 방법과 같습니다.

Bind DN : LDAP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의 Admin 객체 정보를 삽입합니다.

Password : 위의 admin password 입력하십시요.

Search Context : 찾을 대상의 target 객체 정보를 삽입합니다.

아래는 실제 Active Directory Server의 설정화면입니다.

 

CUPC에 정상적으로 로그인 한 모습입니다.


호 수신시 착신 정보 팝업입니다.

통화중일 때의 다이얼로그입니다.



처음 이 설정을 하시는 분들은 아마도 CUPC에 로그인을 못하시거나, 로그인은 겨우 됐는데, 전화가 안된다던지, 사용자 검색이 안되는 등 무수히 많은 문제에 봉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솔루션에 비해, 문제의 원인이 될만한 소지가 광범위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이게 문제다/저게 문제가 확언하기가 힘든 놈 중 하나인 듯 합니다.
다행인 것은 CUPS의 diagnostics와 CUPC의 healthcheck를 통해서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죠. 아마 이마저 없었으면 정말로 문제해결하기 힘들것 같아요.
아래는 CUPS와 CUPC의 Troubleshooting 화면입니다.

 


지금까지 소개해드린 내용 외에도 Unity나 Meetingplace 연동과 화상통화 등의 기능이 더 있지만, 지금까지의 스텝을 무난히 이해하고 잘 따라오셨고, 각자 트러블슈팅을 해보셨다면, 손쉽게 연동 하실 수 있는 것이기에 이 블로그에서는 더이상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CUPS 세부 설정 및 연동에 대한 소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Reference : Cisco CUPS Deploy Guide


솔민아빠
(CCIE R&S, Vo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