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sco UC Manager

VMWare를 이용한 CUCM 설치절차

 예전에 글을 만들어 놓고 공개를 안했었는데, 마침 필요하신 분이 계신 것 같아 약간씩만 손보고 올립니다.
아래 보이는 절차는 CUCM 버전별로 대동소이할 뿐 아니라, CUPS 같은 다른 플랫폼에도 비슷하게 적용됩니다. 그 중 큰 차이점은 HDD의 용량입니다. 용량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CUCM(Hdd:72 또는146)
 CUCMBE(Hdd:250)
 CUPS(Hdd:75, RAM:1296)

자 그럼 아래 절차대로 CUCM을 VMWare에서 만들어보겠습니다.

1. VMWare에서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한다.

 

2. Custom(advanced)을 선택한 후 Next를 클릭한다.

3.사용하고자 하는 VMWare버전을 선택한다.

4. 설치할 OS가 있는 장소를 선택한다.

5.CUCM이 리눅스 기반이므로, Linux와 Red Hat Enterprise Linux 3를 선택한다.

6.CUCM을 위한 파일명을 입력한다.

7.메모리 설정 – 1,024 MB를 설정한다. 추후 사용시 증감이 가능하다.

8.네트워크 설정 – 어느것을 선택해도 관계는 없으나, Bridged networking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다.

9. 어댑터 설정은 디폴트 설정을 따른다.

10.하드디스크 타입을 IDE로 설정한다.

11. 하드디스크 용량을 72GB로 설정후 Split virtual disk into 2GB files를 선택한다.

12. Virtual Disck File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13. 마지막 단계로서 Customize Hardware를 설정하여 추가적인 설정을 마친다.

14. CUCM의 설치 디스크 장소를 정한다.

15. 설정을 완료하면 곧바로 설치가 진행된다.

16. 설치디스크 미디어를 체크할지 결정 – 그냥 넘어간다.

17. Warning에서 Agree를 선택한다.

18. DVD에 있는 버전으로 새로 설치할지 물어본다.

19. 설치 마법사를 실행한다.

20. 추가적으로 업데이트 할 패치를 적용할지 물어본다. No 선택

21. CM 4.x 이전버전에서 Migration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No 선택

22. Basic Install 시작 화면

23. Time zone 설정

24. Network Interface 설정

25. IP Address 설정 화면이다.  No를 선택하여 Static Address를 입력한다.

 

26. DNS 세팅은 하지 말고 넘어간다.

27. 플랫폼에서 사용할 ID/ Pwd를 입력한다.

28. 조직 정보를 입력한다.

29.First Node / subsequent Node 선택

30. NTP 설정 – 그냥 넘어간다.

31. 현재 시간 설정

32. Database Synchronize용 패스워드 입력한다.

33.SMTP 설정 – 그냥 넘어간다.

34. 플랫폼 설정 종료

35. 관리자 ID(CCMAdministrator)의 패스워드 입력

36. 설정이 완료되어 설치가 시작된다. HDD Format

37. 설치 파일 복사

38. 설치 완료 후 부팅시 화면



사실 여러 연재를 올리려고 준비중이었는데, 개인적인 스케줄이 꼬이는 바람에 중단되었었는데, 우연치 않게 큰 노고 없이 블로깅을 하게되네요.

다음엔 정식으로 뵙도록 노력하겠습니다.



(CCIE R&S, Vo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