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cN

[연재] BcN 표준 참조 모델의 이해 - BcN 의 정의

BcN 표준 참조 모델의 이해

                                                                       글 싣는 순서
                                                                           1. BcN의 개요
                                                                           2. BcN 망 구조
                                                                           3. 서비스 및 제어 계층
                                                                           4. 전달망 계층
                                                                           5. 유선 가입자망 계층
                                                                           6. 무선 가입자망 계층
                                                                           7. 방송 가입자망 계층
                                                                           8. 홈 및 단말 계층

제가 2005년 부터 강의한 BcN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개요 부분을 정리하여 연재 하려고 합니다.
전체적으로 BcN이 무엇인가라는 관점에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항상 강의를 하다보면 너무 내용이 방대해서 잘 이해를 못하시는 듯합니다. 최대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 글은 TTA에서 2006년 12월에 발표한 "BcN 표준 참조 모델 V2.0"에서 발췌되고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이 표준 모델을 이해 한다면 BcN의 망구조 나 BcN이 어떤망인지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BcN 표준 참조 모델 V2.0"은 TTA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BcN의 태동
네트워크 관계자들이 2000년부터 기존의 네트워크를 최대한 재활용하면서 향후 다가올 서비스를 충분히 서비스 해 줄 수 있는 망구조, 즉 차세대 네트워크 (Next Generation Network)에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였습니다. 2002년 1월 ITU-T NGN 그룹 및 IETF, ETSI에서 NGN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ITU-T를 중심으로 NGN 2004 Project를 시작하였습니다.

NGN 개요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All IP 구조 지향 (IP 기반으로 모든 서비스 및 망구조를 구축)
  2) 개방형 구조
  3) 음성 및 데이타 서비스를 통합하여 IP 서비스를 함
  4) 유선 및 무선망을 통합하여 망 간 로밍 및 핸드오프를 고려
  5) 서비스 및 제어 계층, 전달망 계층, 가입자망 계층 3단계로 구분

 2003년 5월 정보통신부는 "NGcN 구축 기획단"을 발족하면서 본격적으로 NGN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였으며, 기존의 NGN 개념을 승계하고 보다 광범위한 범위의 융합을 시도하려고 하였습니다. 우리 나라에서 NGN을 NGcN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이라 명명하여 진행하였습니다. NGN과 같은 개념입니다.

 기존의 NGcN에 누락된 통방 융합의 개념을 포함하여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이라고 명명하여 NGN을 국내 브랜화화하였으며, IT 839 및 u-Korea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게 됩니다.

이러한 일련의 진행은, 정보통신부 주도로 80년대 전전자 교환기 TDX의 성공적인 개발, 90년대 CDMA의 성공으로 이동전화 시장의 확보와 해외 수출 견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2000년 초의 초고속 인터넷 보급으로 정부 주도의 IT 신화를 계속  이어 갈 수 있었으며,  정보 통신 부는 BcN을 다음 목표로 삼고 2010년을 목표로 BcN 시범 사업을 통해 ISP 및 다양한 사업자들이 BcN으로 망을 전개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2010년 경의 가까운 미래 통신 환경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집에서는 100Mbps이상의 대역폭이 확보되어 2개이상의 HD급 TV 서비스를 받고, 아이들은 3D 가상현실 게임을 즐기고, TV를 이용한 HD급화상전화를 하고, u-Helth 및 Home Networking이 완벽하게 구현될 것입니다. 사무실에서는 HD급 다자간 화상회의가 일반화 되어 있고, 수 Gbps의 화일을 빠르게 교환할 것입니다. 이동간에는 개인 당 10Mbps 이상의 속도로 텔레메틱스, LBS, 등의 서비스를 받을 것입니다. 또한, 화상 통화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것입니다. 사용자는 유무선망에 상관없이 모든 내가 원한는 컨텐츠를 동일하게 제공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가까운 미래 통신 환경
다음 그림은  미래 통신 환경에 필요한 기술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
라인하트
CCIEV #18487
linecard@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