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작년에 작성했던 글 중에 발행이 안된 글이 몇 개가 있더군요. cups를 처음 설치하시는 분들께 도움될까 싶어서 몇 가지를 손보고 올립니다.
먼저 CUCM과 CUPS간의 연동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CUCM은 CUPS와 AXL, CTI, SIP로 연동이 됩니다.
먼저 CUPS는 End User 정보 등에 대해 CUCM과 Sync를 맺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인터페이스가 AXL이죠. 간단히 말해 CUPS에 유저정보를 설정하고 싶은데, CUCM에 있는 내용과 동일하게 하고 싶다면 여러분들은 CUCM에 접속해서 End User정보를 확인하면서 일일이 CUPS에 설정을 하시겠죠? 이런 일련의 작업을 AXL이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CUPS가 CUCM에 접속해서 해당 정보를 가져 오는 것이죠.
그 다음, CUPS가 원래 어떤 용도죠? 각 유저의 상태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서버입니다. 다시 말해 메신저를 사용할 때의 online, offline,busy를 비롯하여, offhook,onhook등의 전화기상태정보까지 전달해주기 위해 CUCM과 그 상태정보를 공유해야겠죠. 그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SIP(SIMPLE)입니다.
마지막으로, CUPS에 등록되어 있는 CUPC는 CUCM에 등록되어 있는 자신의 전화기를 제어하여 흔히 말하는 click2call을 해야 합니다. 전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연동 프로토콜(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CTI)이 CUCM과 CUPS사이에 필요합니다.
아래 그림은 위에 설명 드린 세가지 프로토콜을 표현한 것입니다.
자 그럼, CUPS와 CUCM이 연동하는데 필요한 세가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정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CUCM에서 Presence Server가 지정이 되어야겠죠? 다음과 같이 CUCM->System->Application Server에서 지정합니다.
Add New를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CUPS를 선택합니다.
연결하고자 하는 CUPS의 IP address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CUPS에서 axl login에 필요한 ID가 필요합니다. 이때 아래와 같이 AXL Web Service가 동작하고 있어야 로그인이 가능하니 주의 하십시요.
임의의 axl User를 생성합니다. 여기서는 axl이라고 입력하고, 암호는 cisco로 입력합니다. 어떤 값을 사용해도 상관없겠으나, 나중에 CUPS에서도 동일한 값이 적용되어야 하니 잊지 않도록 유의만 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생성한 axl의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User Group을 생성하고 Role을 지정해야 합니다. 먼저 아래와 같이 원하시는 User Group을 생성합니다.
위에서 생성한 User Group에 axl application User를 매핑해야 합니다.
User Group에 axl application user를 assign한 화면입니다. 현재는 아무 의미 없는 User Group에 역시나 아무런 기능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application만 만들어진 상태입니다. 이제 axl과 관련한 role을 부여할 차례입니다. 오른쪽 상단에 보면 Related Links 메뉴가 있는데, 그 중 Assign Role to User Group 메뉴를 선택 후 Go 버튼을 클릭합니다.
Standard AXL API Access라는 Role을 선택 후 저장하면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다음은 CUPS의 세팅화면입니다. 6.X 버전과 바뀐 부분인데요, 이전 버전에서는 설치 중에 콘솔에서 CUCM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였는데 비해, 7.0버전에서는 설치가 완료된 후 웹 접속을 하면 다음과 같은 Post Install Setup이 나와서 CUCM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제가 할때는 CUCM과 CUPS를 동시에 설치하고 있었는데, 아직 CUCM 세팅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CUPS 설치가 완료가 되어서 처음에 조금 당황했었습니다.
CUCM의 호스트 이름과 IP를 입력후 Next를 클릭합니다.
앞서 CUCM에서 입력한 AXL application User ID/PW를 입력합니다.
CUCM과 연결시 사용되는 security password를 입력합니다. CUCM에 세팅한 값과 일치해야겠죠.
최종 확인을 하는 화면인데요, 호스트이름이 확인이 안되었다고 나오는데 그냥 Confirm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Post Install Setup이 끝나면 다음의 세가지 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만, 일반 메뉴에서도 엑세스가 가능하니, 깊게 고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1.위의 화면에서 Home을 선택했을 경우 볼 수 있는 대문 화면입니다.
2. 위의 화면에서 Status를 선택했을 경우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나중에 Diagnostics->System Status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3. 위의 화면에서 Topology를 선택했을 경우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나중에 System-> Topology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