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회의실에 음향 효과가 좋고, 인테리어가 뛰어나더라도 영상 부분이 미흡하면 고객의 만족도가 떨어집니다. 영상 부분은 대형 영상 회의실의 꽃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열심히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대형회의실 영상에 관한 구성도입니다. 실제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어떻게 표시해야 하는 가에 따라 장비의 위치도 다양해지며 추가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장비도 많습니다. 그림에서 처럼 단순하게 디스플레이, 메트릭스 스위처, 카메라, 코덱이 서로 어울려서 이루어지는 구조이며, MCU (Multipoint Control Unit)가 빠져있는 구성입니다. 이는 MCU가 없이도 다자간 영상회의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며, 메트릭스 스위쳐에 의해 구현이 가능한 것입니다.
아래에서는 영상과 관련된 장비들에 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
분배기 (Distributer)
카메라로 부터 받은 영상을 복수의 모니터로 동일한 품질로 분배해주는 장비로써, 입력 단자에 컴포지트, 컴포넌트, RGB, DVI, S-Video 분배기 등이 있습니다. 분배기는 1:2, 1:4 로 표현되는 장비는 앞 부분이 입력, 뒷 부분이 출력입니다. 따라서, 1:2의 경우 하나의 입력을 정해진 2개 출력으로 분배하여 주는 것입니다.
위 그림은 KRAMER 사의 VM-4HD로 HD급 영상 신호 분배 증폭기입니다. BNC 단자 1개로 입력을 받아서, 이퀄라이제인션 및 리클로킹을 제공하여 BNC 단자 4개로 동일한 품질로 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합니다.
음성 분배기 또한 영상 분배기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며, 아래 그림은 KRAMER 사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용 고성능 분배 증폭기입니다. 1:16 으로 하나의 음성입력을 최대 16개의 출력을으로 동일한 품질로 음성 신호를 분배하여 출력합니다. 다수의 스피커가 있을 경우 사용합니다.
셀렉터 (Selector) 또는 스위처 (Switcher)
분배기의 반대 개념으로 다수의 영상입력과 1 대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하여 원하는 영상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장비로써, 입출력 단자에 따라 컴포지트, 컴포넌트, RGB 등으로 구분됩니다. 아래그림은 KRAMER 사의 DVI-D 신호용 고성능 스위처입니다. 리클럭킹 및 이퀄라이징 후에, 선택된 입력을 출력으로 내보는 것입니다.
음성에도 마찬가지의 셀렉터 또는 스위치가 있습니다.
매트릭스 스위처 (Matrix Switcher) 또는 매트릭스 셀렉터 (Matrix Selector)
다수의 영상 입력과 다수의 영상 출력을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해주는 스위처로, 하나의 모니터에서 모든 입력된 영상을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장비입니다. CCTV 같은 경우는 영상만을 스위칭하지만, 방송국 또는 영상회의실 같은 경우에는 음성을 포함하여 스위칭해야 하며, 이런 경우 라우팅 스위처 (Routing Switcher)라고 합니다. 4X4, 8X8, 16X16,24X24,32X32 등으로 구분하며, 앞부분이 입력, 뒷부분이 출력입니다.
위 그림은 SDI 및 HD-SDI 비디오 신호용 16X16 고성능 라우터입니다. 이 제품의 경우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화면 분할기
다수의 영상 입력을 받아 하나 또는 두개의 영상 출력을 표시하며, 화면은 2분할, 3분할, 4분할, 8분할,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됩니다. 일반적으로 4분할기, 8분할기, 16분할기, 24분할기 등으로 나타냅니다. 아래그림은 4화면 분할기 사진으로, CCTV를 감시하는 수위아저씨들 옆에 모니터를 보면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멀티 비전
화면 분할기가 하나의 화면을 여러개로 나누어 각각의 영상을 표시한다면 멀티미젼은 하나의 영상을 여러대의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표시해 줍니다. 아래 그림에서 처럼 큰 지도를 4개의 디스플레이에 걸쳐서 표시해주는 장치입니다.
카메라 (Camera)
일반적으로 회의실의 영상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십만원에서 수천만원대 까지의 다양한 카메라가 있습니다. 대형 회의실의 경우 다수의 카메라가 사용됩니다. 벽면 부착형, 돔형 등이 있으며, 아래 사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비싸지만,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3 CCD 카메라를 주로 사용합니다.
카메라 회전기
카메라가 고정형일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은 회전기를 부착하여, 좌우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카메라 컨트롤러와도 연동이 가능합니다.
카메라 컨트롤러 (Camera Controller)
카메라 컨트롤러는 말 그대로 카메라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왼쪽은 6개의 카메라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며, 오른쪽은 4개의 카메라를 개별적으로 제어 할 수 있습니다. 이 컨트롤러를 통해 줌, 상하 좌우 조절 및 줌인 줌아웃 기능이 모두 가능합니다. 카메라 컨트롤러를 통해 카메라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서로간의 연동이 가능한 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RS232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를 제어하며, 카메라 영상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PVR (Personal Video Recorder)
PVR은 (개인 영상 녹화기)로써 차세대 영상 녹화 장치입니다. VCR과의 차이점이라면 하드디스크를 내장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PC의 동영상처럼 방송 프로그램이나 회의실 영상을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습니다.
스캔 컨버터 (Scan Converter) 또는 스케일러 (Scalers)
컴퓨터의 영상 신호를 받아 일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입니다. 요즘 프로젝터나 디스플레이가 바로 컴퓨터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빈도가 낮으나 상황에 따라 영상 신호 포맷을 변경해야 할 경우 사용한다.
아래 사진은 컴퓨터 그래픽 비디오 및 HD 컴포넌트 신호용 스캔 컨버터입니다. 최대 2048*2048 혹은 HD (1080p) 컴포넌트 신호를 컴포지트 비디와 S-비디오 및 컴포넌트 신호로 동시에 변환하여줍니다.
스캔 컨버터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DVI로 받아서 HDMI로 바꿔주는 장치, 컴포지트 비디오를 HDMI로 변환해주는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연동할 때 영상 포맷을 알맞게 변환해주는 것으로 더욱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중 영상 포맷 동기 발생기 (Multi Video Generator System)
입력된 영상 신호를 컴포지트 비디오, S-Video, RGB, 컴포넌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동시 출력하여 줍니다. 아래 그림은 Multi Video Generator System에 대한 사진과 간단한 구성도 입니다.
전자 칠판
전자칠판은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전면 또는 후면 투사 방식을 이용한 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연계하여 사용합니다. 아래그림은 후면 투사 방식의 전자 칠판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PDP 또는 LCD를 이용한 전자 칠판을 살펴보겠습니다.
흔히 40 ~60인치 (16:9)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광고 등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전자펜을 이용하여 쓰면 표시되는 방식으로 영상회의실 등에서는 좀 작을 수도 있습니다만 가장 선명한 화질을 제공합니다. 여기에 그림을 그리거나 선을 표시하면 그정보가 전자칠판에 표시됩니다.
문자발생기 (Character Generator)
영상에 문자를 생성하여 보여주는 시스템입니다. 단순하게 글자만 보여주는 시스템에서 3D로 표현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문자를 지원하도록 합니다. 방송용 문자 발생기의 경우 문자 뿐만아니라 CG, 배경화면 처리등을 지원합니다. 문자발생기도 HD급 및 SD급 있습니다. 요즘은 HD급으로 하는 것이 추세이기 때문에 아마도 HD를 선호하는 듯합니다. 아래의 왼쪽 사진은 컴퓨터에 보드형으로 제공되는 형태입니다.
아래 사진은 영상에 아래 자막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그림입니다.
단순히 문자만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라면, 위의 방송용 문자 발생기 보다는 그림 처럼 PC 보드형으로 되어 있으며, 다양한 서체와 3D형식의 서체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등이 있습니다.
프로젝터 / 스크린 /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 파일 등을 보여주기 위해 노트북의 영상을 프로젝터를 통해 표시하거나, 원격지의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받아서 표시해 줍니다. 가장 기본적인 회의실 시스템입니다. 따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잘 아실것입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50"이상이 항상 사용됩니다. 큰 규모의 경우 60"도 사용합니다. 디스플레이 가격이 많이 저렴해 졌기 때문이고 하지만, HD 영상에 대한 요구가 강하게 일기 때문인 듯합니다.
파워 컨트롤러 (Power Controller)
전원을 분배 및 제어하는 기기로서 기기 전면의 스위치로 장비들의 전원을 제어합니다. 제품에 따라 4개 또는 8개 까지의 장비에 대한 전원 제어가 가능합니다. 순간적으로 입전되어 전원 과부하나 오동작을 막기 위해 1초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입전되도록 합니다.
위와 같은 영상 시스템을 연동하여 회의실을 구축하게 되면 아래그림과 같은 멋진 회의실의 영상 부분이 갖추어지게 됩니다.
대형 회의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회의실 인테리어, 영상 장비, 음향 장비를 살펴보았습니다. 실제 회의실의 구성시에는 각각의 전문가들과 상담을 통해 자신의 회의실을 꾸미고 싶은 부분에 대해 컨설팅을 받아야 합니다만 기본적인 지식으로 알고 있으면,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 까 하여 작성하여 보았습니다. 연재 마지막회에서는 몇몇 가상의 구축 예제를 가지고 살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