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sco UC Manager/CUCM 11의 이해

[연재] 시스코 CUCM의 이해 - 제 2부 3장 CUCM First Node 설치하기 (하)


제 2부 CUCM 11 Voice & Video 구축하기 

   3장 CUCM First Node 설치하기



4. CUCM 설치 마법사를 이용한 서버 정보 구성하기  
본격적으로 시스코 CUCM 11 을 VM (가상머신, Virtual Machine) 위에 설치를 시작합니다. 


"Disc Found" 항목에서는 DVD 드라이브에 마운트된 ISO 파일 미디어를 체킹여부를 묻습니다. 실제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므로 "Skip"을 선택합니다. 





"Product Deployment Selection" 항목에서는 시스코 CUCM ISO 파일이 포함하고 있는 Cisco Unied Communications Manager 와 Cisco Unity Connection 중에 설치를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을 묻습니다. 지금은 스펙기반으로 설치하다보니 하드웨어 리소스 문제로 인해 CUCM 만이 설치 가능하다고 표시됩니다. "OK" 버튼을 선택합니다. 





"Proceed with Install" 항목에서는 설치할 CUCM 버전이 11.0 임을 확인한 후에 "Yes" 버튼을 클릭합니다.




"Platform Installation Wizard" 항목에서는 초기 구성을 도와주는 설치마법사를 지금 시작할지 설치 후에 시작할 지를 묻습니다. "Proceed"는 지금 설치마법사를 시작한다는 의미이고, "Skip"은 설치 마지막에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는 "Proceed"를 선택합니다. 




"Apply Patch" 항목에서는 추가적인 패치를 설치 중에 같이 할 것인지를 묻습니다. "No" 버튼을 선택합니다. 





"Basic Install" 항목에서는 DVD에 있는 파일만으로 설치함을 알려줍니다. 즉, 패치를 적용하지도 않으며 설치마법사로 구성할 항목을 사전에 정리한 AFG (Answer File Generator)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Continue" 버튼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부터 설치마법사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Timezone Configuration" 항목에서는 시간대를 선택합니다. "Asia/Seoul"을 선택한 후에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Auto Negotiation Configuration" 항목에서는 이더넷 포트 (NIC, Network Interface Card)의 속도와 Duplex 방식을 자동으로 설정하겠다고 공지합니다. "Continue"를 선택합니다. 





"MTU Configuration" 항목에서는 OS에서 설정한 MTU 사이즈를 변경할 것인지를 묻습니다. "No"를 선택합니다. 





"DHCP Configuration" 항목에서는 DHCP 서버를 이용하여 IP 설정을 자동으로 할지를 묻습니다. 서버는 고정 IP를 사용합니다. IP가 변경될 경우 서비스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No"를 선택합니다. 





"Static Network Configuration" 항목에서는 IP를 설정합니다. 사전에 결정된 IP 주소 정보와 호스트네임을 입력합니다. 호스트네임은 DNS 서버에 의해 호스트로 지정되어야하므로 간결하고 식별 가능하게 지정합니다. "OK"를 선택합니다.  




"DNS Client Configuration" 항목에서는 DNS 서버를 지정합니다. 흔히 DNS 서버없이 구성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제는 필수입니다. DNS없이 빠르게 구축하고 싶을 경우에는 "No"를 선택하고, DNS가 있을 경우에는 "Yes"를 선택합니다. 





"Yes"를 선택할 경우 "DNS Client Configuration" 항목이 계속됩니다. DNS IP 주소와 Domain을 입력한 후 "OK"를 선택합니다. 




"Administator Login Configuration" 항목에서 관리자명과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에 "OK" 버튼을 선택합니다. 




"Certificate Information" 항목에서는 X.509 인증서의 Subject Name에 사용될 값을 지정합니다. 보안 강화를 위해 TLS 및 SRTP를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실 서비스용으로 구축할 경우에는 고객과 상의하여 신중하게 항목을 기입합니다. 또한, 시스코 CUCM 11은 설치되자마자 Self-signed Certificate를 이용한 보안이 자동으로 적용되므로 인증서만 보아서 무슨 서버인지를 알수 있도록 합니다. 






"First Node Configuration" 창은 CUCM 클러스터의 Publiser역할을 하는 서버 인지 아닌지를 묻습니다. 처음 설치하는 서버이므로 "Yes" 버튼을 선택합니다. 






"Network Time Protocol Client Confuguration" 항목에서는 NTP 서버를 지정합니다. CUCM은 NTP없이 설치할 수 없습니다. NTP 서버는 다음과 같이 지정할 수 있습니다.  


  • Public NTP 서버 활용
    CUCM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상황일 경우 "time.bora.net"과 같은 NTP서버를 이용

  • Windows 서버에서 NTP 서거 구동

  • Cisco Router에서 NTP 서버 기능 활성화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Router# show clock
    Router# config t
    Router(config)# clock timezone KST +9
    Router# clock set 10:50:00 Jun 04 2013
    Router(config)# ntp master

 

여기서는 라우터에서 NTP 서버를 지정하여 이용합니다. NTP 서버 IP 입력 후에 "OK" 버튼을 선택합니다. 





"Security Configuration" 항목에서는 시스텝의 Security Password를 지정하여 클러스터간 보안 통신 및 백업 파일 암호화에 사용합니다. 항상 보안이 복잡하게 패스워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어디 적어 놓지 않아도 기억하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보안입니다. 패스워드 입력 후 "OK"를 선택합니다. 





"SMTP Host Configuration"항목에서는 메일 발송을 위한 SMTP 프로토콜의 사용여부를 묻습니다. CUCM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메일을 정해진 주소로 발송합니다. 나중에 플래폼 OS에서 구성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따로 설정하지 않습니다. "No" 버튼을 선택합니다.   





"Smart Call Home Enable page" 항목에서는 스마트 콜홈 서비스를 사용할 지를 묻습니다. Smart Call Home 서비스는 시스코가 직접 시스템 진단과 실시간 경고를 알려줍니다. 

  • CUCM 8.6 이상 버전 사용

  • 시스코의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서비스인 SWSS 사용 (ESW 포함)

  • CCO ID 와 연계 

Smart Call Home 서비스는 설치 후에 "CUCM Unified Serviceablity" 의 "CallHome" 페이지에서 활성화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설치가 우선이므로 "Disable All Call Home on System Start" 입니다. 






"Application User Configuration" 항목에서 CUCM 관리자용 웹페이지 접속을 위한 관리자 지정을 요청합니다. 관리자의 사용자명과 패스워드 입력을 한 후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Platform Configuration Confirmation" 항목에서는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합니다.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5. CUCM 설치 시작
가상 하드드라이브를 생성합니다.  



파일을 전송한 후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6. 설치중에 자주 만나는 에러
"Network Connectivity Check Failure" 창은 설치 중에 자주 만나는 에러입니다. CUCM은 Default Gateway와 통신시에 패킷 손실이 없어야 하므로 항상 스위치를 이용하여 연결해 두어야 합니다. 

ㅇㄹ






NTP 서버 접속 에러도 자주 만나게 됩니다. 통신 중에 패킷 손실 및 지연이 없어야 하므로 네트워크를 확인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Test" 버튼을 클릭하여 접속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CUCM First Node로 웹 접속하기
정상적인 설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CUCM에 웹으로 접속합니다. 웹브라우저에서 CUCM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CUCM을 설치 시 자동으로 3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됩니다. 


  • Cisco Unified Communication manager

  • Cisco Unified Communication Self Cate Portal

  • Cisco Prime License Manager


CUCM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를 클릭합니다.





CUCM은 보안이 강화되어 Self-signed Certificate 을 생성하여 HTTPS통신을 합니다. Self-signed Certificate 를 사용하므로 웹브라우저의 퍼블릭 CA 인증서 목록에 없으므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뜹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이창이 뜨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여기서는 FireFox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I Understand the Risks" 를 선택한 후에 "Add Exception"을 선택합니다.





"Add Security Exception" 창에서 "Confirm Security Exception"을 클릭합니다. 





CUCM 관리자 웹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최초 설치 후에 뜨는 경고를 보면 현재 라이센스가 입력되지 않아 데모 라이센스 상태로 운영중이며 60일 이후에는 자동으로 라이센스가 중지됩니다. 따라서, 설치후 60일 동안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애에 대비한 백업 시스템이 구성되지 않았다는 경고입니다.



이제 CUCM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마치며
CUCM 클러스터의 First Node 이자 Publisher를 설치했습니다. 다음으로 Subscriber를 설치하겠습니다.



"시스코 CUCM의 잉해"의 다른 글


2015/07/15 - [Cisco UC Manager/CUCM 11의 이해] - [연재] 시스코 CUCM의 이해 - 제 2부 3장 CUCM First Node 설치하기 (상)



라인하트 유씨누스(UCnus) (CCIEV #18487)  --------------------------------------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세상을 이롭게 하는 기술을 지향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