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llaboration/Cisco Jabber

[대하연재] Cisco Jabber 11.0 의 이해 - 12. Persistent Chat Room (채팅방)

글 싣는 순서
1. 멀티도메인 (Multi-Domain) 지원

2. Enterprise Group 

3. 파일전송 (일대일 및 일대다)  

4. 채팅 중 화면 공유 (일대일 및 일대다)

5. FECC & Self View

6. Bridge Escalation (그룹채팅에서 영상회의로 전환)

7. Jabber to Jabber Call (P2P 음성 및 영상 통화)

8. 채팅 히스토리 보관 및 검색

9. Call Features (통화 관련 기능)

10. IM Features (채팅 관련 기능)
11. FMC Features (재버 모바일만의 특화 기능)

12. Persistent Chat Room (채팅방)
13. Advanced Features of Cisco Jabber
14. 가상화 환경에서의 재버 (VXME)
15. 홈 클러스터
16. 
Security Features (인증서 관리 및 암호화)

17. 시스코 재버 자동 업데이트



시작하며
대하 울트라 캡숑 막장 치정 연재가 막바지에 다가왔습니다. 순서가 계속 바뀌기기는 하지만 재버와 연관된 모든 부분을 최대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Persistent Chat Room의 개요
Persistent Chat Room (채팅방)은 사라지지 않는 고정된 대화방으로 참가자는 이미 결정되어 있으며, 회의 내용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룹 채팅은 채팅 중에 참가자를 Ad-hoc으로 초대하지만, 채팅방은 회의방에서 바로 채팅을 시작합니다. 채팅방의 대화 내용은 항상 기록되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므로 언제든지 추적가능합니다.  


채팅방을 구성한 후에는 재버 클라이언트의 왼쪽 탭에 "Chat Room (채팅방)" 이라는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채팅방을 생성, 추가, 삭제 및 검색이 가능합니다. 




Persistent Chat Room 시스템 구성 개요
채팅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외부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주고 받은 모든 채팅 메세지는 기록을 위한 Compliance 데이타베이스와 채팅방 데이타베이스에 전달된 후에 모든 채팅방 사용자에게 전송됩니다. 


Persistent Chat Room을 만들기 위한 컴포넌트는 세 가지가 필요합니다.

  • CUCM IM&P 서버
    시스코 CUCM과 연계하여 채팅 서비스와 상태정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시스코 CUCM과 CUCM IM&P 서버는 10.0 이상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 외부 데이타베이스
    외부 데이터베이스는 채팅방과 채팅내용을 저장하기 필요하며, 시스코가 추천하는 데이타베이스는 두종류인다. 하나는 무료인 PostgreSQL 8.3.x 와 9.1.1과 또하나는 Oracle 9G, 10G, 11G 입니다. 또한 을 사용해야 합니다. 



  • 재버 클라이언트
    채팅방 기능을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Cisco Jabber for Windows 9.7 이상 버전과 Cisco Jabber for Mac 11.0 버전이 필요합니다. 재버 클라이언트에서 Persistent Chat Room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jabber-config.xml 파일에 아래의 정보를 삽입해야 합니다. 

    <Persistent_Chat_Enabled>True</Persistent_Chat_Enabled>


채팅방 구성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모든 CUCM IM&P 서버가 각각 데이타베이슨 인스턴스를 하나씩 가져야 합니다. 



 


Persistent Chat 구성을 위한 데이타베이스 구축하기
오라클을 쓰고 있을 경우에는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겠지만, 채팅방을 위해 새로 구매하기 어렵다면 PostgreSQL DB를 사용해 보길 권합니다.


- PostSQL 다운로드 : http://www.postgresql.com/download/
- 리눅스에서 PostgreSQL 설치하기
- Windows Server에서 PostgreSQL 설치하기 (인터넷에 많이 있습니다.)


CUCM IM&P에서 채팅방 설정하기
CUCM IM&P 서버에서 외부 데이타베이스를 연결해 보겠습니다. 먼저 메뉴바에서 Messaging >> External Server Setup >> External Databases"로 이동하여 외부 DB를 연동합니다. 




설정을 한 후 메뉴바에서 "Messaging >> Group Chat and Persistent"로 이동합니다.




  • "System automatically manages primary group chat server aliases"를 비활성화

  • "Enable Persistant Chat"을 체크하여 활성화

  •  CUCM IM&P 서버에 대응되는DB Instance를 연결


다시 메뉴바에서 Messaging >> External Server Setup >> External Databases"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정상 상태인지를 확인합니다.



위에서 그룹채팅에 대한 엘리어스 생성을 비활성화하였으므로 수동으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Messaging >> Group Chat Server Alias Mapping" 으로 이동한 후에 CUCM IM&P 서버와 매핑되는 채팅방 앨리어스를 명기합니다.




또한, 외부에서 Expresswy를 통해서도 채팅방 서비스를 받아야 하므로 Expressway E에 설정된 인증서에 SAN (Subject Alternate Name)으로 명기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Group Chat System Administrators를 지정합니다. 메뉴바에서 "Messaging >> Group Chat System Administrators"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이 기입합니다. 


그룹채팅 관리자에 권한을 부여 합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Cisco XCP Router 와 Cisco XCP Text Conference Manager"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저는 귀차니즘으로 인해 시스템 재부팅을 합니다.  



채팅방이 구성된 Cisco Jabber for Windows
Persistent Chat Room 구성이 완료가 되면 아래와 같이 시스코재버 탭에 "Chat Room"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채팅방 탭에 접속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간단한 정보가 표시됩니다. 

  • My Rooms : 자신이 생성한 채팅방

  • All Rooms : 회사에서 이용하는 모든 채팅방

  • New Room : 새로운 채팅방 생성 






신규 채팅방 생성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채팅방의 방장 지정 및 패스워드 등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채팅방 기능은 Cisco Jabber for Windows 9.x 버전과 Cisco Jabber for Mac 11.0 버전에서 지원합니다. 채팅방 기능은 기업들이 선호하는 기능이지만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Cisco Jabber를 이용한 채팅방 기능을 구현한 사례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재버의 도입이 많아지고 있으므로 도입 기업이 늘어나리라 기대해 봅니다.  




라인하트 유씨누스(UCnus) (CCIEV #18487)  --------------------------------------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세상을 이롭게 하는 기술을 지향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