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Cisco Unified Communication Manager 6.0 데이타시트의 이해 - 4. Sytem Capabilities Summary (1)
라인하트2007. 12. 20. 06:00
글 싣는 순서
1. Summary of User Features (1)
2. Summary of User Features (2)
3. Summary of User Features (3) 4. System Capabilities Summary (1) 5. System Capabilities Summary (2)
6. System Capabilities Summary (3)
7. Summary of Administrative Features (1)
8. Summary of Administrative Features (2)
9. Summary of Administrative Features (3)
10. Cisco Unified Mobility
11. SIP Trunk and Endpoints
12. Bunlded Software
시스코의 UC Manager 6.0 데이타시트의 "System Capabilities Summary" 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부분은 약 53개의 기능을 지원한다고 되어 있으나 세부적으로 보면 약 100여개가 넘는 듯합니다. 우선은 알파벳 순으로 살펴보고, 비슷한 기능은 묶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미 User Features에서 설명한 부분이 있다면, 다시 설명하지 않고 참조만을 표시합니다.
Alternate automatic routing (AAR)
AAR은 다음 그림과 같이 WAN 구간의 Bandwidth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PSTN으로 자동으로 우회 경로를 제공합니다. 만일 AAR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HQ의 사용자는 "Not enough Bandwidth"라는 메세지와 reorder tone을 듣습니다. AAR이 설정되면, HQ 사용자는 메세지를 받은 후 바로 PSTN으로 우회하여 호가 연결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PSTN 전화번호를 다시 누를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이 장점입니다. 낮은 대역폭을 가진 WAN을 이용할 경우 반드시 CAC (Call Admission Control)을 설정해야 하며, 또한 AAR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WAN 대역폭이 충분하다면 사용할 필요가 없겠지요.
만일 WAN 회선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는 AAR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Route Group 에 의해 백업 경로로 우회됩니다. 사용자에게는 똑같은 결과이지만, 수행되는 과정이 틀린것입니다.
Attenuation and gain adjustment per device (phone and gateway)
장치별 감쇄 및 이득 조정이 가능합니다. 이해하면 쉽지만, 별로 알 필요가 없는 것 가운데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Default 값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초장기에는 음성 튜닝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서 사용을 했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전송 간에 감쇄가 발생하게되면 이에 대해 보상을 해야 합니다. 즉, 입력값에 대해 얼마나 증폭을 해야하는 지를 나타냅니다. 또한, 입력 값이 너무 크면 감쇄가 필요합니다.
Audio message waiting indication
기존의 콜매니저(Call Manager)는 MWI를 단순히 LED를 켜서 나타내었지만, 선택적으로 링을 울려서 표시 할 수 있습니다. 이미 User Features에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자동 대역폭 선택 및 자동 경로 선택에 대해 의미는 알겠지만, 정확한 동작 구조는 알지 못하겠습니다.
AVVID XML Layer (AXL)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API with performance and real-time information
실시간 정보와 퍼포먼스에 대한 AVVID AXL SOAP라는 API를 지원한다는 것입니다. SOAP는 XML과 HTTP등을 베이스로 다른 컴퓨터에 있는 데이터나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AVVID는 "Architecture for Voice, Video and Integated Data" 로 지능적인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를 말합니다. 결국, 종합해 보면 Cisco Call Manager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이 API를 통해 접근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Basic Rate Interface (BRI) endpoint support; registers BRI endpoints as Skinny Client Control Protocol (SCCP) devices
국내에는 더이상 ISDN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주 좋은 기술이긴 하지만, ADSL과 같은 기술이 보편적인 상황에서 누가 128Kbps의 데이타 속도와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매력을 느끼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Call Manager는 BRI 단말을 SCCP 디바이스로 인식하고 등록을 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CAC-Intercluster and intracluster
Call Manger는 Location-based Call Admission Control 기능을 지원합니다. 즉, 모든 단말과 포트들은 Location이라는 논리적인 위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Location간에 CAC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클러스터 내에서 뿐만아리라 클러스터간에도 지원할 수 있습니다.
Call coverage
이미 User Features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입니다. 콜 매니저의 Call Coverage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Forwarding 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calls
Forwarding out of a coverage path
Timer for maximum time in coverage path
Time of day
Call display restrictions
이미 User Features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입니다. 전화번호 및 이름을 표시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Call preservation-redundancy and automated failover-on call-processing failure
Call Preservation이란 Call Manager가 장애가 발생하더라고 현재 통화중인 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Callrecording & Silient Monitoring
일반적으로 call recording 및 silient monitoring 은 콜 센터에서 사용합니다. silient monitoring은 슈퍼바이저가 상담 호를 상담원 몰래 듣는 기능으로 상담을 잘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Call Manager의 경우 "Witness" 또는 "Nice" 레코딩 제품과 SIP Trunk로 연동하여 레코딩을 지원합니다. 아래 그림은 IP Phone 기반의 모니터링과 레코딩의 경우의 음성 처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Codec support for automated bandwidth selection
Call Manger는 단말간에 코덱 협상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코덱을 지원합니다.
Advanced Audio CODEC (AAC) for use with Cisco TelePresence devices
Digit analysis and call treatment
모든 IP PBX 및 Gateway는 다음과 같이 digit manupulation이 가능해야 합니다. 시스코의 콜 매니저 또한 다음의 기능을 지원합니다.
digit string insertion
digit deletion
digit stripping
dial access codes
digit string translation
Database resiliency to increase feature availability
기존의 CUCM 5.x까지는 지원되지 않았던 기능 가운데 하나입니다. Publisher 가 장애 상황에 빠지면 데이타베이스를 조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call forward all의 경우 publisher가 장애가 나거나 클러스터가 깨어진 상황에서는 사용자들은 CFA을 설정할 수 없었지만, CUCM 6.0에서 부터는 사용이 가능하며, 데이타베이스 장애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Extension mobility
Call forward all
Message waiting indication
Privacy
Device mobility
Do not disturb (new with Version 6.0)
End User and Application User Certificate Authority Proxy Function (CAPF) for CTI
Monitoring
Hunt groups
Device mobility changes the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when a device moves within the cluster
클러스터 내에 Device가 이동할 때마다 지역에 맞게 Device Pool을 수동으로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Device Pool을 변경해야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겠습니다.
Location에 따라 CAC가 틀리므로 전체적인 음성 및 영상 퀄러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PSTN 호를 시도할 경우, 원래 있던 지역의 Gateway가 아닌 방문 지역의 Gateway를 이용하도록 해야 함
Region별로 사용 코덱이 틀리므로 맞추어야 함
Device Mobility 기능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Location을 추적할 수 있어 쉽게 위의 사항들이 변경됩니다. 동작 원리는 간단합니다. 일반적으로 IP adress pool과 Location을 함께 연동하는 것으로 위치가 바뀌면 IP address 대역도 바뀌기 때문에 쉽게 감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IP address와 물리적 위치가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원래 네트워크에 있는 지 다른 지역으로 이동 되었는 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동된 지역의 Configuration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Phone에는 line CSS와 Device CSS 두가지를 설정하며, line CSS가 항상 우선합니다. IP Phone의 지역이 바뀔경우 자동으로 Device CSS를 변경하여 방문 지역의 Gateway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큰 잇점일 것입니다.
Distributed call processing
분산 호 처리 기능을 지원합니다. 시스코의 콜 매니저는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최대 8대까지 하나의 서버 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서버는 IP 상으로 연결된 어느 지역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지만, 서버 간에는 20ms의 RTT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Deployment of devices and applications across an IP network
Virtual clusters of up to eight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servers for scalability, redundancy, and load balancing
Maximum of 7500 Cisco Unified IP phones per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server and 30,000 per server cluster
Maximum of 100,000 busy-hour call completions (BHCCs) per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server and 250,000 per server cluster
Intercluster scalability to more than 100 sites or clusters through H.323 gatekeeper
Intracluster feature and management transparency
Fax over IP-G.711 pass-through and Cisco Fax Relay
시스코 콜 매니저는 FoIP를 지원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VoIP 디렉토리의 "Fax transmission over IP" "T.30 Fax transmission Protocol"을 참조하십시요
Forced authorization codes and client matter codes (account codes)
CMC는 Call accounting 및 과금 관리를 지원한다면, FAC은 사용자가 호를 할 수 있는 권한 관리를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Route Pattern에 CMC 및 FAC에 대한 사용 예 입니다. 예를 들면, FAC 코드가 설정된 RP (국제호)로 연결되는 호에는 Dialing이 끝나면 tone이 떨어지고 추가적인 Digit (FAC Code 또는 Passwoed)을 눌러서 매치가 되면 호가 진행됩니다. CMC코드는 그룹별 과금을 위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CDR에 설정된 CMC 코드별로 과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마찬가지로 RP에 대한 호가 들어오면 CMC 코드를 눌러서 호가 진행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빨간색 상자안에 FAC 및 CMC를 체크하면 설정됩니다.
H.323 interface to selected devices Interface to H.323 gatekeeper for scalability, CAC, and redundancy
H.323 단말, Gateway 및 Gatekeeper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H.323 FastStart (inbound and outbound)
H.323으로 연동 시에 FastStart를 지원합니다. Call Manager는 기본적으로 Slow Start를 지원합니다.
Hotline and private line automated ringdown (PLAR)
Call Manger의 Hotline 또는 PLAR기능을 지원합니다. PLAR는 전화기반의 인터콤으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수화기를 드는 순간 정해진 착신지로 무조건 연결이 되는 기능으로 PLAR, Hotline, Hotdial이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아무런 다이얼링 패턴을 갖지않는 Transulation Pattern을 만들고, Hotline 전화기에 CSS에는 이것만 가지도록 합니다. 즉, Call Manager는 전화번호가 없는 것도 전화번호로 인식하고 처리합니다. 따라서, 수화기를 들면, 전화번호가 없기 때문에 자동으로 패턴이 없는 TP에 연결이되며, TP의 정해진 착신지로 연결되는 것입니다.
Hunt groups-Broadcast, circular, longest idle, and linear, Login and Logout
Hunt Pilot 번호로 전화가 들어오면 Hunt List에 속해있는 Hunt Group으로 통화가 됩니다. 이때, 여러개의 Line Group에 어떻게 전화기를 선택할 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 매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Broadcast
모든 idle 또는 이용 가능한 멤버에게 동시에 링이 울림
Circular
N번째 전화기에 최근에 통화 했다면, 다음 이용한 멤버에게 링이 울림
Longest idle
무조건 idle time이 가장 긴 전화기가 링이 울림
liner
이용 가능한 멤버 가운데 다음 차례에 링이 울림
Login and Logout
이 것은 자료에 없습니다만, Login 되어 있는 사용자에게만 링이 울리는 것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