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llaboration/Cisco Jabber

[연재] 다시쓰는 Cisco Jabber 설치하기 - 5. Cisco Expressway 설치 및 기본 설정하기

      글 싣는 순서

       1. Service Discovery 의 이해
       2. Service Discovery 설정하기 

       3. Cisco Jabber for Windows 설치 및 인증서 관리

       4. Cisco Expressway 의 이해

       5. Cisco Expressway 설치 및 기본 설정하기
       6. Cisco Expressway 클러스터링 및 CUCM 연동
       7. Cisco Expressway 에 인증서 주입하기 
       8. Cisco Expressway 에서 Traversal Zone 구성하기 
       9. 사외에서 웹서버를 이용해 사진 추가하기
      10. Cisco Jabber 9.5 에서 URI Dialing 구성하기


시작하며

X 8.2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VCS, Expressway의 설치 방식은 동일합니다. 라이센스 키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제품이 달라집니다. Cisco Expressway를 VMware에서 설치하는 부분과 구동을 위한 기본적인 설정하는 부분까지 살펴보겠습니다



Expressway 소프트웨어 다운로드하기

Cisco Expressway는 시스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위치는 "Conferencing >> Video Conferencing >> Video Conferencing Gateways << Cisco Expressway Series >> Cisco Expressway" 에 있습니다. 



확장자가 ova 인 파일은 처음 설치할 경우에 사용하며, tar 파일은 업그레이드를 위해 사용합니다. CUCM의 OVA 파일은 VMware 하이퍼바이저에 CUCM을 설치하기 위한 서버 구성 정보만을 담고 있지만, x 8.x소프트웨어 대한 OVA 파일은 이미지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OVA 파일 설치하기
설치하는 방법은 vCenter에서 설치하는 방법과 VMware Host에서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는 vCenter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습니다. 호스트에 직접 설치할 경우에는 "Host / Cluster"와 "Resource Pool"부분이 없으므로 훨씬 간단합니다. 


VSphere 클라이언트로 접속한 후에 메뉴바에서 "File >> Deploy OVF Template"를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Deploy OVF Template"라는 창이 뜨면 하나씩 진행합니다. 우선은 OVA파일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Next"를 클릭하면 OVA 파일에 대한 상세 정보가 나타납니다. 




"NEXT" 버튼을 클릭하면, End User License Agreement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언제나 읽지 않으므로 "NEXT"를 클릭합니다. 




"Name and Location" 페이지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서버 이름과 VM (Virtual Machine"을 설치할 장소를 선택합니다. 





" Deployment Configuration" 페이지에서 설치 방식을 선택합니다. 설치방식은 아래 표와 같이 세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Small and Medium VM deployment
    - CUCM에 대한 최대 2500 단말 등록 
    - 최대 100 개의 영상 호 또는 200 개의 음성 호 지원

  • Large VM Deployment
    - CUCM에 대한 최대 2500 단말 등록
    - 최대 500 개의 영상 호 또는 1000 개의 음성 호 지원

  • 클러스터 구성
    - 최대 6개의 Expresway 서버까지 클러스터링 구성하여 4배의 용량 증가
    - CUCM에 대한 최대 10,000 단말 등록
    - 최대 2000 개의 영상 호 또는 4,000 개의 음성 호 지원



가장 일반적인 설치는 "Medium" 옵션입니다. 





"Host / Cluster" 와 "Resource Pool" 페이지에서 설치할 호스트를 선택합니다. 




"Storage" 에서 Expressway를 설치할 하드디스크를 선택합니다. 




"Disk Format"에서 기본으로 설정된 "Thick Provision Lazy Zeroed"를 선택합니다만, 데모 환경에서는 퍼포먼스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하드디스크 공간 절약을 위해 "Thin Provision"을 선택합니다. 




"Network Mapping" 페이지에서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별도의 설정이 없다면 기본값인 "VM Network"을 선택합니다. 




"Properties"페이지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구성합니다. 




"Ready to Complete" 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 후에 "Power on after Deployment"를 선택한 후 "Finish"를 클릭합니다. 




이제 Cisco Expressway를 위한 VM이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좀 더 상세한 설치 설명서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시스코 PDF 파일입니다. Step-by-Step 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몇 가지 트러블 슈팅 내용도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isco-Expressway-Virtual-Machine-Install-Guide-X8-1.pdf




Cisco Expressway 기본 설정
이제 설치가 Expressway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었으므로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을 합니다. 최초 접속시에 사용되는 Username은 "Admin"이며, Password는 "TANDBERG"입니다. 




모든 X 8.x 계열의 소프트웨어는 최초 접속 시 "Cisco TelePresence Video Communication Server Control "이라고 표시됩니다. Expressway 소프트웨어가 아니라고 다시 다운로드하지 마시고, 라이센스를 정확히 넣으면 정상적으로 이름이 변경됩니다. 



접속한 후에 "This system has 5 alarms"를 클릭합니다. x 8.x 계열 소프트웨어는 항상 5개의 알람을 제거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첫번째 알람은 NTP 설정 이슈입니다. 알람 페이지에서 파란색 "time" 을 선택하면 "Sytem >> Time"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NTP 값은 VMware vCenter에 설정된 NTP 값을 그대로 복사하거나 기본값이 표시됩니다.  삭제한 후에 설정된 NTP의 DNS 또는 IP 주소와 Time Zone을 입력합니다. 



제대로 설정되었다면,  페이지 아래에서 녹색의 "Synchronize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TP 설정만으로 1번과 5번의 알람이 해결되었습니다. 다시 붉은 말풍선의 알람을 클릭한 후에 "Change the admin password"를 클릭하면 "Users >> Administrator accounts"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View/Edit"를 선택하여 Admin 계정의 기본 패스워드를 복잡하게 바꾸어 줍니다. 데모랩이라면 "C1sco123" 을 주로 이용합니다.




이제 Root 패스워드를 변경하겠습니다. 터미널로 Expressway에 접근합니다. 사용자명은 root, 패스워드는 TANDBERG 입니다. # 프롬프트에서 passwd를 친 후에 복잡한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이제 하나의 라이센스 관련 알람만 남았습니다.



라이센스 입력하기

라이센스를 어떻게 입력하느냐에 따라 장비명이 달라 집니다. "Add a release key"를 클릭하면 "Maintenance --> Option keys"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라이센스 발급을 위해 사용되는 Serial Number 와 기본 Active Option을 확인합니다. 기본 상태에서 3개의 등록, 암호화, 1 Traversal Call, 1 Non-Traversal Call이 지원됩니다. 



Release Key는 서비스 계약에 대한 인증입니다. Release Key 를 입력 후에 "Set release key"를 클릭합니다. "Relase Key set, A restart is required for this to take effect"라는 메세지가 나타나지만, 지금은 재부팅을 하지 않겠습니다. Option Key 입력과 재부팅 전에 필요한 기타 설정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제 Expressway Series 옵션 키를 넣습니다. 웹페이지의 상위에 시스템 이름이 Cisco Expressway Control 로 바뀝니다.  







여기서 옵션 키들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Traversal Server
    Expressway에 Firewall Traversal Server 기능을 활성화하므로 Expressway Edge가 됩니다. 

  • H.323 to SIP Interworking Gateway
    H.323 호를 SIP 시그널링으로 변환하거나 SIP호를 H.323 호로 변환합니다. Expressway의 관점에서 재버는 SIP로 호를 송신하므로 불필요합니다.

  • Advanced Networking
    Static NAT 기능과 두 번째 LAN 포트를 활성화합니다. 하나의 VM이 네트워크 이중화를 위해 두 개의 이더넷 포트가 필요할 경우 필요합니다.

  • Rich Media Sessions
    B2B나 마이크로소프트 Lync 연동 시에 필요한 라이센스로 하나의 호 당 1 개의 라이센스가 필요하며, Expressway 나 VCS의 C와 E 에 각각 필요합니다.

  • TURN Relays
    ICE와 TURN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시스코 재버는 9.6 이후 버전에서 ICE를 지원합니다. 

  • Encryption
    AES 암호화를 활성화합니다.

  • Microsoft Interoperability
    마이크로소프트 Lync 2013과 연동을 지원합니다.

  • Expressway Series
    Expressway 시리즈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Cisco Expressway는 C (Core)와 E (Edge)로 구성됩니다. Expressway Series 옵션 키를 활성화하면 두 대가 Cisco TelePresence Video Communication Server Control (VCS C)에서 Cisco Expressway Core (Expressway-C)로 변경됩니다. Express C는 그대로 두고 Expressway E는  Traversal Server 옵션 키를 입력하면 비로소 Express-E로 변경됩니다. 



DNS에 Expressway 입력 확인
이 연재의 두 번째 글에서 Service Discovery 설정하기에서 필요한 DNS 설정을 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확인만 하겠습니다.

내부 및 DNS에 호스트 A 레코드로 모든 Expressway와 장비들을 등록했습니다. 등록 시에는 "Create associated pointer(PTR) record"를 체크하는 것을 잊지 않습니다. 



내부 및 외부 DNS에 A Record 로 설정하면서 클러스터 설정을 할 것이므로 Express C 2 대, Express E 2 대, Expressway C Cluster 2 대, Expressway E 클러스터 2개 입니다. 



내부 및 외부에 필요한 SRV 레코드를 설정합니다. 아래는 외부 DNS에 SRV 값을 설정한 것입니다. 이중화를 위해서 같은 SRV에 두 대 모두 넣어 주었습니다. 






Expressway에 DNS 설정하기 
Expressway에 DNS 설정하기 위해 메뉴바에서 "System >> DNS" 로 이동합니다. 



DNS 서버에 설정한 호스트네임을 "System host name"에 입력하고, 도네인 네임과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DNS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NS 설정 페이지 맨 아래에 있는 "DNS Lookup Utility"를 클릭합니다. 장비의 호스트명을 입력한 후에 Lookup을 클릭합니다. 

정상적으로 IP 주소가 응답되면 설정이 된 것입니다. DNS 설정은 Expressway C 와 E에 넣어 줍니다. 




재부팅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지만, 재부팅은 한 번에 하는 것이 편리하므로 클러스터링 설정을 완료한 후에 재부팅을 하겠습니다. 클러스터링이 필요없는 상황이라면 여기서 재부팅을 해도 됩니다.



재부팅을 우해 메뉴바에서 "Maintenance >> Restart Option"으로 이동합니다.  




"Restart Options" 페이지에서 "Restart"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시한번 Confirm을 요청하며, 여기서 "OK" 클릭합니다.



 

재부팅이 시작됩니다. 




마치며

다음 장에서는 Expressway를 클러스터링으로 구성할 것이므로 나머지 C와 E에 대한 DNS 설정 및 기본설정 등을 완료하여 4대를 구성하면 클러스터링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다시쓰는 Cisco Jabber 설치하기" 연재는 허클베리핀님의 "Cisco Jabber 무작정 따라하기" 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연재입니다. 기본적인 설정은 허클베리핀님의 연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라인하트 (CCIEV #18487)  -----------------------------------------------------
ucwana@gmail.com (라인하트의 구글 이메일) 
http://twitter.com/nexpertnet (넥스퍼트 블로그의 트위터, 최신 업데이트 정보 및 공지 사항) 
http://groups.google.com/group/cciev (시스코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http://groups.google.com/group/ucforum (벤더에 상관없이 UC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모인 구글 구룹스) 
세상을 이롭게 하는 기술을 지향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