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업데이트된 CCIE Voice v3에서 다뤄지는 내용들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1. Campus Infrastructure
VLAN : HQ는 6503 대신 3750으로 Vlan 세팅을 하고, 나머지 두개의 Branch는 ESW를 설정합니다.
NTP : NTP 싱크 세팅을 해서 각 장비 및 폰의 시각 정보를 일치시킵니다.
2. CUCM SCCP and SIP Endpoint
CUCM Phone Registration :
SCCP와 SIP 등록을 별도로 해야 하며, 각 폰별 concurrent call 및 통화 가능 채널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Auto Answer 설정이 필요합니다.
SIP Phone에서 Inter-digit timeout 없이 전화걸기가 가능하게 설정하고, re-register도 설정합니다.
3. CUCME SCCP and SIP Endpoint
CUCME Phone Registration :
마찬가지로 SCCP / SIP 등록을 해야 합니다.
GUI 세팅을 완료하여 User가 접속하여 자신의 특정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Softkey를 수정합니다.
SIP 폰은 DTMF를 sip-notify를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4. Voice Gateway and Gatekeeper
H.323 : BR2-RTR에서는 H.323을 통해 GK 및 CUCM과 연결합니다. E.164를 지원해야 합니다.(+)
MGCP : BR1-RTR 게이트웨이는 MGCP로 CUCM에 등록합니다.
SIP : V2와 다른 점이 6500이 없다는 점이죠. 따라서 HQ-RTR의 게이트웨이 세팅이 SIP형태로 추가됩니다.
Gatekeeper : Multi-Zone 또는 Multi-Domain이 출제 가능합니다.
Basic Call Routing : CCIE Voice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부분은 자체만 봤을 경우 많은 변화는 없는 듯 하나, CUCM 7.0의 기능들을 도입하면서 오히려 기능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시다면 더 간단해 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5. Call Routing Policy
Class of Service : CSS, time-of-day routing 등 말이 필요 없는 부분이죠. Call display Restriction도 소개될 수 있습니다.
Route patterns and Dial-peers : Call routing을 성공할 수 있는 초초기본이죠.
Digit Manipulation and Transformations : 바뀐 라우팅 정책에 맞는 간결한 manipulation을 정리해 둘 필요가 있겠죠?
Local Route Group : 이번 버전에서 많이 강조되는 부분입니다. CUCM 7.0부터 나온 기능으로 반드시 숙지해야 할 사항입니다.
Device Mobility : site to site roaming시 고려사항들을 숙지하셔야 합니다.
Unified Mobility : Mobile connection이죠. 각 세부 파라미터 숙지가 필요합니다.
Mobile Voice Access : Mobile Connection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파라미터 숙지가 필요한 모듈입니다.
6. High Availability Feature
AAR : RSVP CAC와 밀결합되는 기능으로서 v2에서도 많은 분들이 실점을 한 부분으로서 자세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죠.
SRST : SRST시 최대한 평상시 기능 구현이 되어야 하는것이 핵심입니다.
IOS Class of Restrictions : COR 세팅의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겠죠.
7. Media Resource
Conference Bridge : 각 사이트별 conference Bridge 세팅의 이해가 필요하고, 각 전화기의 배치 정책이 중요합니다.
Transcoders : HQ와 BR2-RTR에서 반드시 필요합니다. 특히 Messaging을 구현하기 위해서… 이기능이 안되면 음성사서함 엑세스 또한 안될 수 있으므로, 많은 실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Music on Hold : 문제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Multicast MOH 세팅을 반드시 익혀야 합니다. 더 나아가서 L2에서의 Multicast Issue도 이해하셔야 합니다.
8. Supplementary Service
Call Park : Parking의 파라미터 이해가 필요합니다.
Call Pickup / Directed Call Pickup / Other Pickup : 각 시나리오별 가장 적합한 Pickup 기능 구현이 핵심입니다.
Call Barge : Shared Line 세팅시 Barge의 기능 및 제한사항을 정확하게 이해하셔야 합니다.
9. Voice Applications
B-ACD : 기존 버전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IPMA : EM과 연동한 IPMA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EM on CUCM and CUCME : CUCM과 CUCME에서 각각 EM을 구현할 줄 알아야 합니다.
10. QoS and CAC
L2/L3 Traffic Classifications and Policing : 각 프로토콜별 classification이 핵심사항이고, Traffic Shaping의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항목입니다.
L2 LFI : BR2-RTR과 HQ-RTR 구간의 LFI 구현을 추가해야 합니다.
RSVP CAC : RSVP CAC를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11. Messaging
Unity Connections : subscriber의 각 기능과 Call Handler의 확장 기능 이해가 필요합니다.
Unity Express : CUCME와의 연동 부분과 각 유저별 기능 할당을 수행해야 합니다.
12. UCCX
Advanced Configuration of Subsystems : 시나리오는 큰 차이가 없으나, 준비작업이 많은 부분입니다.
Custom Scripting : 스크립트로 많은 부담을 갖지만, 실제로 다양한 변화는 없는 부분입니다.
13. Unified Presence
CUCM Presence : CUCM에서 구현 가능한 Presence 기능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BLF나 Subscribe CSS 등의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Unified Presence Server Integration : CUPS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 많이 어려워 하시는 부분이니만큼 시간투자가 필요한 항목입니다.
Unified Presence Server Advanced Configuration : CUPC와의 연동에 있어서 CUCM과 CUPS의 파라미터 설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항목입니다.
이제 각 모듈별 예상 시나리오는 Voice CCIE Forum에서 공유하면서 토론하도록 하겠습니다.
민
(CCIE R&S, Vo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