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ynamips

[연재] Dynamips / Dynagen - 3. Slackware 설치하기 (1)

                                                                                         글싣는 순서
                                                                                         1. 시작하며...
                                                                                         2. VM 만들기  
                                                                                         3. Slackware 설치하기 (1)
                                                                                         4. Slackware 설치하기 (2)
                                                                                         5. Slackware 설치하기 (3)
                                                                                         6. Slackware 설치하기 (4)
                                                                                         7. Dynamips 설치하기
                                                                                         8. Dynagen 설치하기
                                                                                         9. 이제 함 놀아보자!!!
                                                                                         10. 이제 함 제대로 놀아보자!!! (1)
                                                                                         11. 이제 함 제대로 놀아보자!!! (2)
                                                                                         12. 이제 함 제대로 놀아보자!!! (3)

안녕하세요. 민형애비입니다.
이제 Guest OS인 Slackware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설치는 Windows XP만큼이나 쉽구요 스샷이 많은 관계로다가 3부분으로 쪼개서 진행하겠습니다.

1. Welcom to Slackware
VM을 시작하고 조금후 설치 환영 화면이 나타납니다. "boot: _" 라면서 뭔가 입력을 기대하고 있는데요 사정없이 Enter를 누르도록 합니다.

2. Keyboard map
Keyboard map을 설정할려면 1을 눌러라는 건데요 France나 Swiss처럼 이상한 자판 사용 안하면 사정없이 Enter를 누르세요.
 

3. Login
CDRom으로 Slackware 부팅이 끝나면 Login을 기다립니다. 별다른 instruction이 없는 한 software설치는 root로 합니다. 'root' 입력 후 Enter를 누르세요.
 

4. Partition and Format
root로 로긴 후 또다른 설명들이 나오는데 요약하면 리눅스 깔려면 파티션 잡아야 한다는 겁니다.
민형애비는 'cfdisk'라는 tool을 이용해서 partition을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에서 무조건 필요한 파티션은 '/'와 'swap'입니다.
그 외의 'var', 'tmp', 'usr', 'opt' 등등은 선택적으로 사용할수도 안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database를 만드신다면 보통 database software와 data를 별도의 공간에 따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 파티션을 '/', 'swap', 'var', 'usr'등으로 나눠 프로그램은 '/usr/local/database' 밑에, database는 '/var/database/'밑에 둬서 백업이나 장애시 복구에 안전할 수 있게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요즘처럼 하드가 500G, 1T 이런식으로 크다면 관리 목적으로 파티션을 나누기도 합니다.
하지만 민형애비는 아주 게으르고 VM의 하드는 8기가 밖에(???) 되지 않으므로 '/boot', 'swap', '/'이렇게 세개만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NTFS, FAT32라고 하는 것은 파티션이 아니라 파일시스템입니다. 파티션은 말그대로 하드디스크를 쪼개는 거구요 거기에 사용될 파일시스템으로 윈도우는 NTFS, FAT32, 리눅스는 ext2, ext3 등등을 사용합니다.

리눅스 설치시 partition tool을 어떻게 쓰는지 몰라 시작조차 안하시는 or 시작했다 금방 포기하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윈도우즈에 노예가 되어 있는 우리를 탓해야지 누굴 탓하겠습니까?
'cfdisk'를 실행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좌우 화살표를 이용하여 하단 메뉴의 New로 이동하고 Enter를 누릅니다.

새로 만들 파티션의 종류를 'Primary'로 선택하고 Enter를 누릅니다.

그 다음 Partition의 크기를 정해라고 하는데 첫번째 partition은 '/boot'로 사용할 것이고 256M면 충분합니다.

Partition의 위치는 'Beginning'으로 합니다.

이제 리눅스 파티션이 생겨났습니다. 상하 화살표를 이용하여 파티션간 이동이 가능하고 선택한 파티션에 행할 작업은 하단 메뉴에서 좌우 화살표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처음 생성한 파티션은 '/boot'로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상하 화살표로 선택 후, 좌우 화살표로 'Bootable'로 이동하여 Enter를 눌러줍시다.

이제 'swap' 파티션을 만들어야 합니다. 상하 화살표로 아직 partitioning하지 않은 디스크를 선택하고 좌우 화살표로 'New'로 이동하여 Enter를 누릅니다.

'swap'의 크기는 넉넉하게 2기가 정도 잡아줍니다. 'swap'의 크기에 대해서 말들이 많은데요 제 경험상 요즘 같이 메모리가 빵빵한 컴퓨터는 512M만 잡아줘도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만 하드가 워낙 빵빵하다보니 민형애비의 경우는 대충 2G정도 잡아줍니다. swap의 크기와 체감 성능은 큰 관계가 없는 듯하네요.

마찬가지로 'swap' 파티션은 Free Space의 시작 부분에(/boot 파티션 바로 다음 부분) 설치합니다.

이제 2번째로 생성한 파티션을 swap을 type을 변경해 봅시다.
상하 화살표로 2번째 파티션을 선택한 후 좌우 화살표로 'Type'으로 이동하여 Enter를 누릅니다.

Type list가 쭉 나오는데요 swap은 82번입니다. 8을 누르면 82가 선택됩니다. 그 다음 Enter 누르세요.

남아 있는 Free Space를 통째로 Linux Partition으로 잡으시고 좌우 화살표를 이용하여 'Write'로 이동 후 파티션 테이블에 정보를 쓰도록 합니다.
그 다음 'Quit'으로 이동하여 'cfdisk'에서 빠져나옵니다.
Installation은 'setup'이라는 program으로 진행됩니다. 설치 시작을 위해 'setup' 입력 후 Enter를 누르세요.

 To be continu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