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NExpert
검색하기
블로그 홈

블로그 홈

NExpert

nexpert.tistory.com/m
신고

허클베리 핀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7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백만 방문객 돌파 기념] Nothi⋯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PDF로 파일 변환하기 시작하며 엔지니어들이 항상 매뉴얼이나 자료를 PPT 로 만들고 나면 자료 변경 방지를 위해 PDF로 자료를 변환합니다. 윈도우즈를 사용하던 시절에는 PDF 프로가 설치된 노트북을 가진 분들에게 읍소를 하곤 했었습니다. 맥북 OS는 왠만하면 기본 기능으로 지원합니다. 이런 글은 단 10분이면 쓰는 날로먹는 글입니다. PDF로 변환하기 우선 작성한 PPT 파일을 열고 나서 메뉴바에서 "파일 >> 인쇄"를 선택합니다. 하단의 PDF 옵션에서 "PDF로 저장"을 선택합니다. 파일 제목을 결정하고 "저장"을 선택하면 파일이 생성됩니다. 아래와 같이 PDF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보시면 PPT 파일은 64.4MB 이고, PDF 파일은 49.9MB입니다. PDF 파일로 변환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파일 크기를 줄이는 .. 공감수 5 댓글수 0 2016. 11. 23.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무료로 아이폰 미러링하기 시작하며맥북을 이용하는 엔진니어들은 청중들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폰을 미러링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별도의 앱을 이용하여 미러링하였지만, 맥북의 요세미티 버전부터는 간단하게 아이폰을 미러링 할 수 있습니다. 맥북 OS X의 기본 기능을 활용한 아이폰 미러링을 살펴보겠습니다. 맥북 OS X 버전 확인퀵타임을 이용한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 미러링을 위해서 맥북 OS X의 버전을 확인합니다. 메뉴바에서 "애플마크 >> 이 Mac에 관하여"를 클릭하면 맥북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잘 모르겠다면 바탕화면이 요세미티 공원의 하프돔이 보이는 지 확인하셔도 됩니다. 이제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를 맥북과 맥용 USB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퀵타임 플레이어를 이용한 미러링맥북의 ..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3. 21.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SNMP Server 사용하기 시작하며얼마전 테스트 중 CUCM의 SNMP v3 지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SNMP MIB Browser를 설치해야 했습니다. 이런 테스트는 십년에 한 번하는 것이지만, 막상 인터넷을 뒤질려면 귀찮은 일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SNMP의 개요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어로 IP 네트워크 상의 노드로 부터 정기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순 관리 프로토콜입니다. SNMP 프로토콜은 아래와 같이 3 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Managed Device : 관리받는 호스트 또는 노드 (Node)Agent : Managed Device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NMS (Network Management Satation) : Manager 기능을.. 공감수 0 댓글수 6 2015. 12. 28.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SFTP Server 사용하기 시작하며시스코 CUCM에서 사용하는 안전하게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해 SFTP를 사용해야 하므로 맥북에서 SFTP 서버를 구현해야 했습니다. 맥북에 내장된 SFTP 서버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해 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약간의 삽질을 통해 구글링으로 해결하시겠지만, 영어 보다는 한글이 편하다는 생각으로 정리합니다. SFTP 서버 기능 활성화하기 FTP 서버의 경우 명령어 한줄로 활성화되었습니다. SFTP 서버도 간단하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점은 FTP와 SFTP 서버는 다르지만 동시에 활성화할 수 없습니다. SFTP 서버를 사용하면 FTP는 비활성화 해야 합니다. FTP 서버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아래 명령어로 비활성화합니다. sudo -s launchctl unload -w /System/Libra.. 공감수 2 댓글수 0 2015. 10. 21.
  • [Engineer on the Mac] 엔지니어들이 자주 사용하는 맥용 애플리케이션들 시작하며 윈도우즈 운영체제에 완벽 적응한 제가 "맥을 아는 몸"이 되기까지 한 6개월 정도 걸렸습니다. 맥북 사용을 주저하는 분들에게 전하고 싶은 한 마디는 지금 도전하지 않으면 항상 마음속 언저리 "맥북 사용해 볼걸"이라는 것이 남게 됩니다. 하루라도 젊을 때 시작해 보세요. 분명히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는 것은 확실합니다. 우리 모두 맥을 아는 몸을 가진 엔지니어가 되는 그날까지 "Engineer on the Mac" 연재는 계속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엔지니어의 맥북에는 꼭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몇 가지를 공유합니다. Microsoft Remote DesktopUnRarXMoviest WireShark .rar 압축파일 풀기 맥은 .ZIP 파일 압축하기 및 압축해제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므로 새로운 .. 공감수 0 댓글수 0 2015. 10. 1.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화면캡쳐하기 시작하며 엔지니어들은 문서작업을 많이 하다보니 화면을 캡쳐할 일이 많습니다. 맥북을 사용하는 엔지니어들은 맥북에서 기본 제공하는 화면캡쳐 관련 단축키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개인적으로 포스팅에 항상 사용하는 기능이므로 간략하게 정리합니다. 맥북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화면 캡쳐 맥북에서 제공하는 화면 캡쳐 기능을 이용하여 바탕화면에 자동으로 파일로 저장하거나 클립보드에 복사가 가능합니다. 사진 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단축키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화면 : + + 선택부분 : + + 윈도우만 : + + 를 누른 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외에 간단하게 클립보드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파워포인트나 워드에 방금 캡쳐한 사진을 바로 적용하는 경우라면 클립보드 복사로도 충분합니다.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단축키는 다음.. 공감수 3 댓글수 0 2015. 9. 30.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FTP Server 사용하기 시작하며시스코 CUCM에 Korean Locale 을 설치하려다 보니 FTP 서버가 필요했습니다. 윈도우즈에서는 당연히 사용하던 3CDamon 이 맥북에는 없다보니 약간의 삽질을 하게 되었습니다. 구글링을 하다보면 항상 해결됩니다만 영어가 아닌 한글로 정리한다는 것에 의미를 둡니다. 맥 OS X 에서 FTP 서버 기능 활성화하기 맥 OS에는 수 많은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보니 굳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Built-in FTP 서버를 사용하는 법을 정리합니다. 터미널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udo -s launchctl load -w /System/Library/LaunchDaemons/ftp.plist 명령어를 입력한 후에는 아래와 같이 패스워드를 요청하므로.. 공감수 0 댓글수 0 2015. 4. 2.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TFTP Server 사용하기 시작하며 네트워크를 다루는 엔지니어에겐 TFTP는 필수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라우터 및 스위치에 구성 정보나 펌웨어를 업로드하는 일이 많기 때문입니다. 윈도우즈 OS에는 다양한 무료 어플리케이션이 있지만, 맥 OS에은 대부분이 유료 버전이라 무료 버전을 구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ac OS에 내장된 TFTP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TFTP Server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Mac OS X에 내장된 TFTP Server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및 유닉스에 익숙한 사용자여야 합니다. 저와 같이 리눅스 및 유닉스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명령어를 따라서 치기만 해도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몇몇 개발자들은 간단한 유틸리티를 만들어 내포하.. 공감수 1 댓글수 4 2014. 10. 20.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USB 메모리 포맷하기 시작하며 넥스퍼트 블로그의 주요 유입 키워드가 맥북에서 USB 메모리 포맷하기입니다. 맥북에서 USB를 포맷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너무 가끔씩 하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자주 찾아하기 때문인듯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주 간단하게 맥에서 USB 메모리나 외장 하드디스크를 포맷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봅니다. USB 메모리 포맷하기USB 메모리를 포맷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 "디스크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USB 메모리나 외장 하드디스크를 삽입한 후에 디스크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아래와 같이 USB메모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처럼 USB 메모리를 선택한 후에 오른쪽의 "지우기"탭을 선택합니다.. 공감수 7 댓글수 2 2014. 10. 13.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NTFS로 포맷된 대용량 USB 사용하기 시작하며 대용량 USB 외장 하드 드라이브는 NTFS로 포맷하여 사용하지만, 맥북의 기본 세팅은 NTFS로 포맷된 USB를 읽을 (Read) 수는 있지만 쓸수 (Write)는 없습니다. 맥북 사용자들은 주로 3rd Party 제품인 Paragon NTFS나 Tuxera NTFS 제품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저는 Paragon NTFS를 무료로 이용하는 방법을 여러번 시도하였지만 잘 되지 않아서 맥의 숨은 기능을 이용하여 해결하였습니다. 맥북의 OS X는 머든지 있기는 한데 찾아서 직접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NTFS로 포맷된 USB 드라이브 지원을 위한 설정 맥북은 OS X 자체적으로 NTFS로 포맷된 USB 드라이브를 지원합니다. 설정 방법을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대용량 USB .. 공감수 5 댓글수 32 2014. 8. 20.
  • [Engineer on the Mac] 맥북에서 USB to Serial 케이블 이용하기 시작하며윈도우즈를 듀얼부트로 사용하지 않는 엔지니어에게 맥북은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맥북이 뛰어나고 좋은 OS를 가지고 있지만, 모든 것을 새롭게 배워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요즘 맥북을 사용하는 엔지니어들이 하나둘씩 늘고 있으므로 제가 경험한 내용을 위주로 엔진니어에게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겠습니다. USB-to-Serial 케이블을 위한 드라이버 찾기 맥용 USB-to-Serial 케이블의 드라이버를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조사를 알아야 하므로 메뉴바의 애플 마크를 선택하여 "이 매킨토시에 관하여"를 클릭하면 아래의 왼쪽 화면이 나타나고 "추가정보"를 선택합니다. "시스템 리포트" 을 선택하기 전에 "USB-to-Serial" 케이블을 맥북에 연결하면 아래와 같이 제품 .. 공감수 3 댓글수 5 2014. 8. 19.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